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3187 vote 0 2017.06.14 (19:12:35)

f.jpg g.jpg


    모든 물질은 고유한 파장을 가지고 있다. 파장이 일치해야 접점을 공유한다. 사건은 축을 이동시키는 형태로 일어나며 축의 이동은 접점의 상실을 낳는다. 접점을 상실하기는 쉬워도 복원하기는 기술적으로 매우 어렵다. 인위적으로 균일하게 맞춰주면 되지만 자연에서 저절로 맞아지지는 않는다. 


    생물의 성장이나 문명의 진보는 세포의 복제와 인간의 학습을 통해 인위적으로 균일하게 주파수를 맞춘다. 자연에서 저절로 맞아질 일은 절대로 없다. 더욱 에너지 준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는 절대로 맞아가지 않는다. 더욱 전자기적인 반발력 때문에 원래 안 맞게 되어 있다. 


    존재는 자연상태에서 균일하려고 하며 에너지 준위가 높은 것과 낮은 것이 있다면 결국 낮은 쪽으로 맞춰진다. 우연히 충돌이 일어나 축이 틀어질 수는 있어도 우연히 충돌이 일어나 축이 맞아질 확률은 없기 때문이다. 


20170108_234810.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920 어른되기 image 6 김동렬 2013-05-27 10820
3919 창의의 구조 1 김동렬 2008-05-01 10808
3918 누가 우리편인가? image 1 김동렬 2013-03-14 10797
3917 달마실이 가는 길 김동렬 2008-02-20 10775
3916 고쳐쓴 학문의 역사 2 김동렬 2006-01-21 10772
3915 반미인척 하는 미국광신도들이 문제다 김동렬 2006-04-10 10767
3914 생물의 진화와 사회의 진보 image 9 김동렬 2011-11-21 10765
3913 디워 봤다.. 이송희일 때문에 김동렬 2007-08-05 10764
3912 최장집의 굴욕 김동렬 2007-01-26 10764
3911 구조론의 깨달음 image 3 김동렬 2012-04-20 10761
3910 갈 것인가 말 것인가? image 김동렬 2012-03-12 10761
3909 질의 마인드를 훈련하라 image 6 김동렬 2012-02-15 10756
3908 구조론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image 6 김동렬 2014-10-13 10751
3907 미학의 역사 김동렬 2006-12-08 10739
3906 창의 똑 이렇게 하라 image 5 김동렬 2011-12-02 10738
3905 돈오 그리고 스타일 image 1 김동렬 2012-11-05 10736
3904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의 차이 1 김동렬 2013-07-29 10734
3903 이상주의는 살아있다. image 김동렬 2016-11-15 10724
3902 중간은 없다 image 1 김동렬 2018-04-28 10713
3901 이기심인가 상호작용인가? image 김동렬 2016-11-07 1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