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8]아제
read 4881 vote 0 2010.02.14 (02:12:35)

설..특별?

사실 특별할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쓸데없는 짓이다.

 

기축년이 간다고 한우가 멸종하는 것도 아니고

경인년이 온다고 호랑이가 시베리아를 건너와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되고..그런 것은 없다.

저 년과 이 년이 다를 이유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2010 년..경인년의 해는 다르다. 왜 그런가?

내가 다르다고 했기 때문이다.

우리가 다르다고 하면 월드컵 4강이 되는 것이다.

 

애들은 가라..호랑이 해다.

정상에 서있는 특별한 사람에게만 하는 특별한 이야기다.

특별할 것이 없다는 것을 아는 자에게만 허용된 이야기다.

 

정상에 서보면 다 쓸데없다.

모든 것은 흩날리는 먼지다.

노자도 그랬고 석가도 그랬다. 정상에 올라간 자는 안다.

 

dust in the wind~

 

전부 공이다. 무다..제로다.

개시허망이다. 뭘 한다고 하는데 전부 쑈일 뿐이다.

모든 것은 바람 속의 먼지..

 

허나..바람 속의 먼지가 아니다. 빛 속의 먼지다.

먼지가 없다면 우리는 빛을 볼 수 없다.

빛이 밝다구? 천만에.

 

빛은 캄캄하다.

빛이 밝은 것은 먼지 때문이다.

그것이 그대가 정상에서 다시 내려와야 하는 이유다.

 

<없다>를 <있다>로 바꾸어야 하는 이유다.

부정이 아니라 긍정이어야 하는 이유다.

 

설은 선다는 것이다.

시작하므로 긴장하고 설레인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상을 본 자는 그것이 엉터리 임을 안다.

설 것도 없고 긴장할 것도 없고 시작할 것도 없다.

그러나 나는 화를 낸다.

 

"없다면 ..없는 것도 없는 것이다."

"모든 것이 쓸데없다면..쓸데없다는 그 말도 쓸데없다.!"

 

우리가 최초여야 한다.

조사가 오면 조사를 죽이고 부처가 오면 부처를 죽인다.

 

쓸데없음이 오면 쓸데없음을 죽이고

공이 오면 공을 죽이고 허무가 오면 허무를 죽인다.

우리가 최초다.

 

그래서 설레이는 것이다.

그래서 설인 것이다.

그래서 시작인 것이다.

 

새해다.

이유없다. 무조건 새해다.

새해 복많이 받으시길..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8030
197 그 변방세력이 주류를 치게 된 이유, 질문하기 ░담 2010-08-06 7021
196 지역주의의 구조론적 해결방안 질의 1 천왕성 편지 2009-06-15 7068
195 페이스북에서 본 어이없는 글 2 오세 2013-08-21 7073
194 한국의 20대 초반 젊은이들에게 '구조론'이 말을 건다면. 눈내리는 마을 2010-02-22 7074
193 털 없는 인간의 탈모사 2 LPET 2010-01-09 7101
192 류시화이야기 펌 image 4 김동렬 2013-12-08 7102
191 멈추지 말라. 5 아제 2010-07-18 7116
190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 생각의 힘. 6 오세 2009-10-15 7128
189 해군되는것보다는 해적이 되는게 낫다 (It's better to be a pirate than to join the Navy. ) image 2 눈내리는 마을 2009-09-19 7135
188 스타크래프트의 구조론적 해석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10-04-01 7137
187 헝가리와 한국 7 김동렬 2012-12-16 7164
186 사람 노무현 한 결 족보 ░담 2010-01-08 7180
185 읍내리님께 image 1 김동렬 2009-04-09 7182
184 최소작용의 원리 5 김동렬 2013-09-11 7186
183 이기는 선거 (승전vs패전) vs(전쟁vs평화) ░담 2010-05-25 7189
182 성매매 문제에 대한 합리적인 관점 1 오세 2010-08-04 7212
181 구조론으로 본 에너지 장애 진단론 1 -에너지 입구의 문제 4 오세 2010-08-11 7229
180 한글의 과학성 김동렬 2012-10-30 7250
179 생물의 진화 image 5 김동렬 2013-11-12 7268
178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두 번째 image 15 ahmoo 2010-01-18 7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