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http://bookdb.co.kr/bdb/Interview.do?_method=InterviewDetail&sc.mreviewTp=1207&sc.mreviewNo=72721&Nnews


Q ‘인생 책’ <철학 VS 철학> 개정 완전판도 나왔고, 베스트셀러 저자이며 인기있는 대중철학자다. 앞으로 철학자로서 더 이루고 더 이루고 싶은 꿈이 있나?

 

최근 양자역학과 수학기초론을 공부하고 있다. 철학은 예술, 문학, 자연과학과 같은 것들을 다 포괄해서 그런 것에 보편적인 틀, 소통 가능하게 하는 틀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껏 그 작업이 그다지 성공적으로 된 것 같진 않다. 내가 지금까지는 기존 철학자와 싸우면서 비판적 개입을 해왔다면, 다음은 21세기, 나아가 22세기의 인문학적 지평을 보여줄 수 있는 고전과도 같은 강력한 형이상학 체계를 마련해줘야 한다는 생각이 있다. 지금 우리 시대에 문법 같은 형이상학 체계를 구축하고 싶다. 그게 철학의 역할이기도 하고. 그래야 대학에서 분과 되어 고립된 학문이 열리고, 그게 열려야 미래에 우리 땅에 태어날 아이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거다.


----> (일견 구조론의 목표와 비슷한)  저자의 꿈이 원대한데 실현 가능성이 있을까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19]id: 태현태현

2016.09.10 (14:12:18)

무기도 없는 주제에.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6.09.10 (14:20:51)

단순한 외부 사이트 링크는 광고글로 오인되므로

글쓴이의 의견을 붙여주시기 바랍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슈에

2016.09.10 (17:39:30)

"이 책에 한나 아렌트 한 명 들어온 것이 우리 인류 문명의 현주소라고 보면 된다. 내가 대학원 시절에 가장 황당했던 게 여자인데 공자 연구하는 사람들이다. 그들에게 나는 넌지시 “너 미쳤냐?”라고 묻기도 했다. 여성의 가치를 부정하다시피 하는 공자를 연구해서 뭐하게. 그런데 공자를 연구하는 이유는 동양 철학에서 유학을 공부해야 주류라는 쪽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철학함이 아닌 전형적인 철학의 논리인 거다. 여성들의 가장 큰 문제가 남성 주류 사회에서 남성한테 인정받으려고 해서 생긴다. 페미니즘을 여기에 한 항목으로 넣을까 생각도 했었는데 수준이 떨어져서 넣지 않았다.


-> 공자도 페미니즘도 모르는 사람이 자칭 철학자라니.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6.09.11 (03:45:35)

죄송합니다. 광고목적은 아니었고 저자의 희망사항에 대해서 다른 회원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해서 올렸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6.09.11 (06:57:09)

대중철학자라는 단어는 불성립이오.
대중철학자는 미아리에 많이 있는데 반철학입니다.


종교나 주술은 철학의 적일지언정 그것이 철학은 아닙니다.

대중에게 아부하는 강신주 행동도 마찬가지입니다.

강신주가 철학교사는 되겠으나 철학자는 아닙니다.

듣기 좋으라고 철학자라고 불러주는 것은 


역시 대중에게 아부하여 밥먹는 언론사 마음이고.

강신주는 흔한 김용옥급 구조론의 적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1172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6-08-27 1956
1171 3의 법칙? 4 챠우 2016-08-29 2106
1170 여름은 벌써 가버렸나 4 락에이지 2016-09-01 2056
1169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image ahmoo 2016-09-01 1808
1168 감각 피드백은 무슨 역활을 할까요? 1 Spike 2016-09-01 2500
1167 종편을 손보기 전 워밍업~ image 수원나그네 2016-09-01 2011
1166 2017 - T R A I L E R 3 배태현 2016-09-02 2156
1165 2017 - P R O L O G U E_one 배태현 2016-09-03 2050
1164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6-09-03 1746
1163 소모임에 관하여 2 탈춤 2016-09-03 1958
1162 2017 - P R O L O G U E_two image 배태현 2016-09-04 1956
1161 구조론 독서 모임 공지(내용 업뎃) image 2 챠우 2016-09-05 6969
1160 가을정모 전면재검토중. 4 태현 2016-09-08 1843
1159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image ahmoo 2016-09-08 1697
1158 생명의 탄생은 우연이 아니라 수학적으로 필연적인 사건 image 2 오리 2016-09-09 2464
» “날 비판하는 사람들? 50년 후엔 나만 남는다”? 5 kilian 2016-09-10 2022
1156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6-09-10 1619
1155 오늘 강남 독서 모임 있습니다. 챠우 2016-09-10 1729
1154 강남독서모임 후기입니다. image 4 systema 2016-09-10 2216
1153 9월의 세미나 두 개 image 2 수원나그네 2016-09-11 1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