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http://m.blog.naver.com/cideela1/220578066322
소련식 역도 방법의 글인데

4번째 원칙에 흥미로운 애기가 나옵니다
기록을 갱신하려면 그날 그날 운동한 느낌은 전혀 중요하지 않다라고 써 있거든요

사람들이 운동하는게 뭔가 했다는 느낌으로 하는데 이게 결과랑은 상관없다고 해석이 될거 같은데

의문이 드는게 그럼 감각 피드백은 무슨 역활인거지 하는 생각이 드네요 그냥 동기 부여 정도인가?

사회 생활로 확장해보면 개인적 감각을 잘 무시해야 성공한자고 하셨는데 맥락이 비슷한거 같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6.09.01 (13:30:08)

역활이 아니고 역할입니다.

저도 밥먹을때마다 조금 더 먹을 수 있다고 


느끼곤 하지만 먹고 난 뒤에 후회합니다. 

그때 숟가락 놓고 멈췄어야 했는뎅.


사람들은 고통을 회피하지만

고통 속에는 묘한 쾌감이 있습니다.


그 쾌감에 중독되면 죽음이재요.

그 쾌감에 사로잡히면 사디스트가 되는데.


뭔가 했다는 느낌은 그 쾌감을 말하는게 아닐까요?

쾌감이 고통을 견디게 하는 힘을 주지요.


고통을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고 하잖아요.

뇌는 고통이든 흥분이든 정보가 오면 좋아합니다.


뇌의 작동하는 원리가 반드시 인체를 보호하는 

긍정의 방향으로는 되지 않습니다.


뇌는 뇌고 인체는 인체이고

뇌는 뇌 자체의 이익이 있으며


뇌는 인체에 대해 이기적이라는 거지요.

이 때문에 알콜중독 도박중독 등 


다양한 중독이 있는 것이고.

인체야 죽든 말든 뇌는 피드백을 즐기면 그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1172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6-08-27 1963
1171 3의 법칙? 4 챠우 2016-08-29 2117
1170 여름은 벌써 가버렸나 4 락에이지 2016-09-01 2061
1169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image ahmoo 2016-09-01 1818
» 감각 피드백은 무슨 역활을 할까요? 1 Spike 2016-09-01 2507
1167 종편을 손보기 전 워밍업~ image 수원나그네 2016-09-01 2015
1166 2017 - T R A I L E R 3 배태현 2016-09-02 2164
1165 2017 - P R O L O G U E_one 배태현 2016-09-03 2057
1164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6-09-03 1759
1163 소모임에 관하여 2 탈춤 2016-09-03 1967
1162 2017 - P R O L O G U E_two image 배태현 2016-09-04 1962
1161 구조론 독서 모임 공지(내용 업뎃) image 2 챠우 2016-09-05 6982
1160 가을정모 전면재검토중. 4 태현 2016-09-08 1847
1159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image ahmoo 2016-09-08 1709
1158 생명의 탄생은 우연이 아니라 수학적으로 필연적인 사건 image 2 오리 2016-09-09 2469
1157 “날 비판하는 사람들? 50년 후엔 나만 남는다”? 5 kilian 2016-09-10 2027
1156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6-09-10 1634
1155 오늘 강남 독서 모임 있습니다. 챠우 2016-09-10 1744
1154 강남독서모임 후기입니다. image 4 systema 2016-09-10 2218
1153 9월의 세미나 두 개 image 2 수원나그네 2016-09-11 16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