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603 vote 0 2016.06.16 (11:07:28)

    

    문제는 대칭이고 답은 호응이다. 그러나 상대방의 말에 호응하지 말고 자기 언어 안에서 호응시켜야 한다. 상대방의 말에 호응한다면 책임을 떠넘기고 의사결정을 회피하는 것이다. 이유를 댄다 해도 자기 자신의 비전에서 이유를 대야지 상대방이 어떻게 했으니까 내가 어떻게 응수한다는 식은 온당치 않다. 내가 천하통일의 비전을 세웠으므로 이렇게 한다고 말해야 한다. 무엇보다 자기 언어가 완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생각의 정석 117회]


    대칭이 아니면 호응이다. 대칭은 받아치는 것이고 호응은 다음 단계로 연결하는 것이다. ‘산이 높다’고 하면 ‘물은 깊은데?’ 하고 반대편에서 받아치는 것이 대칭이다. ‘산이 높다’고 하면 ‘골도 깊다’고 같은 편에서 다음 단계로 진도 나가는 것이 호응이다. 기승전결이다. 기를 받아서 승으로 전으로 결로 이어가는 것이 호응이다. 호응이 정답이다. 그러나 그 호응은 자기 안에서 조달되어야 한다.


    영화를 보고 감동한다면 감독의 제안에 호응하는 것이다. 그러나 낚인 것이다. 감독의 제안에 호응하면 안 된다. 정답은? 호응해주는 방법으로 감독을 낚는 것이다. 어린이가 노래를 잘 부르면 어른들이 박수를 쳐준다. 그것은 어린이의 제안에 어른이 호응하는 것이 아니라 어른이 어린이를 낚는 것이다. 감독이 관객을 낚듯이 관객 또한 의도를 가지고 자신이 설계한 판으로 끌어들여 감독을 낚아야 한다. 박찬욱 감독의 ‘아가씨’를 비판적으로 보는 것은 다른 많은 감독들을 낚는 방법이다.


[레벨:30]솔숲길

2016.06.16 (18:41:47)

[생각의 정석 117회] [인공지능 특집] 알파고 1학년 바둑부

http://gujoron.com/xe/686238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29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169
3972 창의교육과 한국교육 image 3 김동렬 2017-12-08 12798
3971 신태용호의 의미 image 2 김동렬 2017-12-06 12464
3970 야심이 없으면 창의도 없다 image 김동렬 2017-12-04 12692
3969 왜 핀란드 수학은 망하는가? image 12 김동렬 2017-12-03 14349
3968 인생은 의미가 있는가? image 7 김동렬 2017-12-03 12769
3967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image 8 김동렬 2017-11-29 15866
3966 나쁜 짓을 하는 사람이 나쁜 사람이다. image 김동렬 2017-11-27 12779
3965 닭이 알을 이긴다 image 6 김동렬 2017-11-27 12875
3964 바람이 부는가? image 2 김동렬 2017-11-25 12928
3963 합리적인 의사결정이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7-11-24 12864
3962 진보는 동원력이다 image 3 김동렬 2017-11-23 12113
3961 어색함을 극복하라 image 1 김동렬 2017-11-22 12705
3960 명상은 거짓말이다. image 4 김동렬 2017-11-21 12682
3959 이기는 게 장땡이다. image 김동렬 2017-11-20 12495
3958 삼풍은 왜 무너졌는가? image 1 김동렬 2017-11-20 13546
3957 통제가능성이 희망이다 image 2 김동렬 2017-11-18 11807
3956 예술이란 무엇인가? image 6 김동렬 2017-11-17 13200
3955 노예에게 해방은 없다. image 김동렬 2017-11-13 12695
3954 진짜 진보의 원리 image 6 김동렬 2017-11-12 12728
3953 무한의 문제를 해명하라 image 3 김동렬 2017-11-10 12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