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557 vote 0 2016.06.16 (11:07:28)

    

    문제는 대칭이고 답은 호응이다. 그러나 상대방의 말에 호응하지 말고 자기 언어 안에서 호응시켜야 한다. 상대방의 말에 호응한다면 책임을 떠넘기고 의사결정을 회피하는 것이다. 이유를 댄다 해도 자기 자신의 비전에서 이유를 대야지 상대방이 어떻게 했으니까 내가 어떻게 응수한다는 식은 온당치 않다. 내가 천하통일의 비전을 세웠으므로 이렇게 한다고 말해야 한다. 무엇보다 자기 언어가 완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생각의 정석 117회]


    대칭이 아니면 호응이다. 대칭은 받아치는 것이고 호응은 다음 단계로 연결하는 것이다. ‘산이 높다’고 하면 ‘물은 깊은데?’ 하고 반대편에서 받아치는 것이 대칭이다. ‘산이 높다’고 하면 ‘골도 깊다’고 같은 편에서 다음 단계로 진도 나가는 것이 호응이다. 기승전결이다. 기를 받아서 승으로 전으로 결로 이어가는 것이 호응이다. 호응이 정답이다. 그러나 그 호응은 자기 안에서 조달되어야 한다.


    영화를 보고 감동한다면 감독의 제안에 호응하는 것이다. 그러나 낚인 것이다. 감독의 제안에 호응하면 안 된다. 정답은? 호응해주는 방법으로 감독을 낚는 것이다. 어린이가 노래를 잘 부르면 어른들이 박수를 쳐준다. 그것은 어린이의 제안에 어른이 호응하는 것이 아니라 어른이 어린이를 낚는 것이다. 감독이 관객을 낚듯이 관객 또한 의도를 가지고 자신이 설계한 판으로 끌어들여 감독을 낚아야 한다. 박찬욱 감독의 ‘아가씨’를 비판적으로 보는 것은 다른 많은 감독들을 낚는 방법이다.


[레벨:30]솔숲길

2016.06.16 (18:41:47)

[생각의 정석 117회] [인공지능 특집] 알파고 1학년 바둑부

http://gujoron.com/xe/686238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36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301
3604 손가락을 가리키면 달을 본다 image 2 김동렬 2015-02-04 6854
3603 해파리의 실패 image 1 김동렬 2015-06-19 6857
3602 열린 사회는 힘이 있다 2 김동렬 2018-07-28 6860
3601 자기 둥지로 시작하라 2 김동렬 2014-07-05 6872
3600 에너지의 카오스와 코스모스 image 1 김동렬 2015-06-28 6879
3599 미련한 곰도 깨달을 수 있다. image 3 김동렬 2015-01-20 6884
3598 동적균형의 모형 image 2 김동렬 2014-05-28 6896
3597 구조로 보아야 역사가 보인다 image 2 김동렬 2014-12-04 6901
3596 인생의 비애가 그곳에 있다 image 1 김동렬 2016-07-29 6901
3595 대칭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5-03-31 6903
3594 무에서 유로 도약하라 1 김동렬 2014-07-03 6906
3593 1초 안에 깨달아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8-28 6911
3592 공자의 죽음과 부활 image 김동렬 2016-04-29 6927
3591 인간이 오판하는 이유 1 김동렬 2014-08-17 6937
3590 도덕경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5-07-03 6937
3589 세상은 이렇게 만들어졌다. image 17 김동렬 2015-04-24 6943
3588 인간이 불행한 이유 image 2 김동렬 2015-10-28 6944
3587 깨달음은 호르몬이다. image 4 김동렬 2015-03-05 6947
3586 공자는 왜 위대한가? image 3 김동렬 2015-04-13 6952
3585 약한고리를 보호하라 4 김동렬 2014-08-28 6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