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458 vote 0 2016.05.26 (13:55:37)

      

    모진 사람은 깨진 돌처럼 마음에 모가 나 있으니 그 뾰족한 모서리가 사람을 다치게 한다. 그러므로 모진 사람은 타인과 한 공간에 공존할 수 없다. 반면 어진 사람은 모서리가 닳아서 둥근 조약돌과 같으니 남을 다치게 하지 않는다. 다른 사람과 같은 공간에 머물러 있어도 문제가 없다. 어진 사람은 어진 사람과 모여서 큰 세력을 형성한다. [생각의 정석 112회]


    유발 하라리는 그의 저서 ‘사피엔스’에서 종교가 인간을 강하게 했다고 주장한다. 종교가 내세나 천국과 같은 허구를 지어내고, 그 허구가 인간을 단합시켰다는 거다. 허구의 이야기에 집착하는건 이상하다. 종교는 현실이다. 


    종교의 출현은 모계사회에서 부계사회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Enemy는 '엄마가 다르다'는 뜻이다. 모계사회는 어머니가 같은 자들이 무리를 이루니 많아야 100명을 넘을 수 없다. 자신을 방어할 수 없는 소규모의 씨족사회다. 


    떠돌이 생활을 하게 된다. 부계사회는 아버지가 같은 자들이 무리를 이루니 집단의 규모가 1천 명 이상으로 커졌다. 대집단을 이루면 떠돌아 다니기가 어려워져서 정주생활을 한다. 영토를 지키려 하므로 전쟁이 일어난다. 


    규모가 큰 집단이 전쟁에서 승리한다. 부계사회가 유리하다. 대집단의 결속을 유지하는데 종교의 기능이 있다. 어머니와 자식의 관계는 물리적으로 증명되나 아버지와 아들 관계는 입증되지 않으므로 종교의 믿음이 중요하다.


    의사결정은 복제≫조합≫연출한다. 복제단계에서 종교나 철학이 기능한다. 여러 사람이 같은 생각을 공유하므로 집단적 의사결정이 가능해진다. 

    


aDSC01523.JPG


    종교의 의미는 인류가 과연 집단적 의사결정을 해낼 수 있는가입니다. 그 문제에 답하는 것이 철학입니다. 철학이 없던 시대에 철학의 역할을 하는 것이 종교입니다. 종교의 우월성은 풀서비스입니다. 철학은 아직까지 그 어떤 뛰어난 철학자도 인간의 근원적인 질문에 전체적으로 답하지 못했다는 것이 약점입니다. 무엇보다 질문 자체를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왜 사는가, 어떻게 살 것인가 하는 인류의 근원적 질문에 대해 진지하게 답한 철학은 아직 없습니다. 나름 답하려고 한 철학자가 있지만 대개 희미한 모색 정도에 그치고 있습니다. 이 질문은 완전성의 문제에 대한 것이므로 깨달음 없이는 철학이 답할 수 없습니다. 


[레벨:17]눈마

2016.05.26 (14:14:00)

인문학 돌보기 이런거 말고.
스타일의 완성. 찰나의 포즈 같은 원형의 복제.
[레벨:30]솔숲길

2016.05.26 (17:57:15)

[생각의 정석 112회] [설특집] 안철수, 샌더스와 발가락이 닮았다?

http://gujoron.com/xe/671898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9661
3345 사랑의 정석 41, 선수를 쳐라 image 2 김동렬 2016-01-27 4875
3344 부자나라가 되는 방법 image 1 김동렬 2016-01-27 5039
3343 후진국이 가난한 이유 image 13 김동렬 2016-01-26 7167
3342 사랑의 정석 40, 일이 깨달음이다 image 1 김동렬 2016-01-26 4634
3341 깨달음은 그림이다 image 3 김동렬 2016-01-25 4820
3340 사랑의 정석 39. 깨달음의 보상 image 3 김동렬 2016-01-25 4545
3339 깨달음은 너와 나를 넘는다 image 1 김동렬 2016-01-22 12443
3338 사랑의 정석 38, 깨달음은 1인칭 image 1 김동렬 2016-01-22 4836
3337 깨달음은 신이다 image 2 김동렬 2016-01-21 5962
3336 사랑의 정석 37, 새누리의 참패 2 김동렬 2016-01-21 4988
3335 공자와 제자 image 2 김동렬 2016-01-20 5143
3334 사랑의 정석 36, 깨달음의 소리 image 1 김동렬 2016-01-20 4697
3333 공자 이후에 공자가 없었다 image 김동렬 2016-01-19 5070
3332 사랑의 정석 35, 불만없이 진보없다 image 1 김동렬 2016-01-19 4848
3331 신영복 선생의 완전성 image 김동렬 2016-01-18 6343
3330 사랑의 정석 34, 합리적인 선택 1 김동렬 2016-01-18 4802
3329 이 시대에 왜 공자인가? 김동렬 2016-01-16 5564
3328 왜 완전성인가? 2 김동렬 2016-01-15 4987
3327 사랑의 정석 33, 악은 없다 1 김동렬 2016-01-15 5296
3326 사랑의 정석 32회, 철학의 세 질문 1 김동렬 2016-01-14 4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