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432 vote 0 2016.05.09 (11:14:22)

     

    세상이 시끄러운 이유는 나팔을 부는 사람 때문이다. 그들은 결코 멈추지 않는다. 그러므로 당신도 함께 연주에 참여하는 수밖에 없다. 당신이 멋진 연주로 그들을 리드할 때 비로소 세상은 고요해진다. [생각의 정석 106회]


    세상은 동적 존재다. 머물러 있는 것은 없으며 변화함으로써 존재를 유지한다. 존재의 원초적 불완전성 때문이다. 우주 안에 완전한 것은 없으며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부단히 호흡함으로써 겨우 존재하게 된다. 가수는 노래하지 않을 때 죽고, 댄서는 춤추지 못할 때 죽고, 작가는 글쓰지 않을 때 죽고, 문명은 진보하지 않을 때 죽고, 우주는 팽창을 멈출 때 죽고, 시간은 흐르지 않을 때 죽고, 인간은 소통하지 않을 때 죽는다. 상호작용하지 않을 때 죽는다.


  많은 것들은 이미 죽어 있다. 이명박은 이미 죽어 있고, 박근혜는 거진 죽어 있다. 이문열은 존재가 없고, 김훈은 티끌과 같다. 그들은 대역전문 연기자처럼 자기존재를 드러내지 못하고 잊혀진다. 혹은 히틀러처럼 오해된다. 우리가 아는 히틀러와 실재했던 어떤 덩어리는 다른 거다. 남의 인생을 거짓으로 연기하기 때문이다. 모든 것은 불완전하며 오직 진리의 팀에 가담했을 때만 빛나게 된다.


aDSC01523.JPG


    우주 안에 완전한 것은 없지만 존재의 원초적 불완전성을 받아들이면 완전해집니다. 스스로 완전한 전구는 없지만 누가 스위치를 눌러주면 전기가 들어와서 완전해집니다. 인간은 스스로 완전할 수 없는 존재지만 신의 마음을 얻어 신의 의사결정을 대표하는 방법으로 완전해집니다. 모든 드라마는 불완전하지만 누가 그 드라마를 보고 또다른 자기만의 드라마를 복제하여 진도나갈 때, 그러한 부단한 연결에 의해 비로소 생명성을 얻어 마침내 완전해집니다. 그 흐름이 끊기면 죽습니다. 생명은 불과 같습니다. 누가 계속해서 연료와 산소를 공급해주는 동안은 완전합니다. 호흡을 멈추면 죽습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5.09 (16:18:42)

[생각의 정석 106회] 이명박의 음모

http://gujoron.com/xe/652936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37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315
3604 서양철학은 없다 image 4 김동렬 2016-08-02 8954
3603 소집이 정의다 image 1 김동렬 2013-09-02 8948
3602 도교와 유교 image 2 김동렬 2014-03-25 8942
3601 관점을 훈련해 보자. image 김동렬 2016-10-11 8932
3600 인생의 문제를 해결하라. image 12 김동렬 2016-08-16 8923
3599 깨달음의 문학 image 김동렬* 2012-10-21 8923
3598 상전이에 도전하라. image 김동렬 2016-10-16 8912
3597 구조로 보는 세계관 8 김동렬 2013-10-11 8903
3596 부분의 합은 전체보다 작다. image 2 김동렬 2018-05-29 8901
3595 구조주의 정치학 image 김동렬 2016-10-04 8898
3594 구조론이 어렵다면 image 8 김동렬 2014-03-26 8880
3593 프로이드의 의미 5 김동렬 2014-02-28 8879
3592 구조는 대칭이다 image 5 김동렬 2015-03-29 8876
3591 여자가 잘해야 나라가 산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876
3590 구조론은 선택게임이다. 김동렬* 2012-10-21 8866
3589 인간의 자유의지와 선택 1 김동렬 2013-12-31 8860
3588 구조론의 제언 image 1 김동렬 2013-06-13 8852
3587 모두 거짓말을 한다 image 4 김동렬 2018-07-15 8848
3586 잉여들이 불안한 이유 4 김동렬 2014-06-20 8848
3585 신 창세기 1 김동렬 2013-10-29 8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