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104 vote 0 2015.09.20 (22:52:39)

1442185608_podborka_32.jpg


이렇게 노골적으로 의도를 들키면 예술이 아닙니다.


1442185633_podborka_30.jpg


이건 예술


    ###


    며칠전 출석부에 올린 건데 챠우님의 리플을 모르고 있다가 발견했습니다.

   

    위의 사진은 사실 비슷한 주제의 조형물이 졸라리 많습니다. 지구에 1천만 개는 있을 겁니다. 게다가 사실 똥같잖아요. 초딩들 새마을노래 부르는 거죠. 잘 살아보세. 잘 사겨 보세. 잘 사랑하세. 유치하긴. 이발소 그림의 전통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습니다. 조선시대 민화에 이건 불로장수를 기원하는 그림, 이건 과거급제 기원하는 그림.. 하는 식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뻘짓거리죠. 이 정도는 뭐 다 아실거고. 


    두 번째 사진은 낙타가 저렇게 철봉에 걸터앉을 줄이야. 몰랐잖아요. 뒤통수 한 방 먹이는게 예술. 


    예술은 흔한 사랑타령과 같은 진부한 주제를 다양하게 변주하는게 답이 아니라.. 새로운 시각적 체험, 새로운 인상적 충격 그 자체입니다. 예컨대 건물에 이런 각도가 있을 수 있구나. 이런 효과가 있을 수 있구나. 이런 조합이 있을 수 있구나 하고 새로운 칼라와 각도와 효과와 분위기를 제안하는 것이지.. 진부한 '차카게 살자' 구호를 재탕, 삼탕, 사탕, 오탕 하는게 아니죠. 위 사진에서 두 아기의 손이 닿을락말락하는건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부터 수억번 해먹은 겁니다.


images.jpg


등 돌린 노인과 그림자들의 연애.. 이런 거 많죠.


people_playing_with_shadows_05.jpg


이런건 출석부에 잘 올라가는 건뎅. 이런걸 적당히 변주한 거죠.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2015.09.20 (23:48:05)

설명 감사합니다. 

역시 많이 본 사람이 예술에서는 유리한 것 같네요. 

천지창조 따라지가 오히려 좋아 보였었거든요.


[레벨:4]JD

2015.09.21 (00:01:26)

"예술은 흔한 사랑타령과 같은 진부한 주제를 다양하게 변주하는게 답이 아니라.. 새로운 시각적 체험, 새로운 인상적 충격 그 자체입니다."

<- '시'도 정확히 이와 같더군요.
'새롭게 보기', '낯설게 하기'...표현이야 어떻든 다 같은 말인듯 싶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9701
1140 내일 촛불 따뜻하다. image 2 김동렬 2016-12-02 3632
1139 생각의 정석 124회 오세 2016-04-24 3631
1138 언어가 문제다. 특히 독해력. 오세 2016-05-20 3630
1137 인간은 지능이 낮다. 1 김동렬 2016-10-12 3627
1136 상식이 틀렸다 image 김동렬 2015-12-14 3616
1135 오자서의 정답 image 1 김동렬 2014-03-23 3611
1134 공감할 수 없는 이야기 image 2 김동렬 2014-03-03 3611
1133 주몽은 투먼인가? image 김동렬 2016-07-26 3608
1132 트라우마란 무엇인가? 5 오세 2014-04-29 3608
1131 21세기 자본론 image 5 오세 2014-05-09 3607
1130 [좌담회] 매국친일파가 창간한 조선일보 image 2 수원나그네 2018-03-21 3605
1129 구조론으로 본 은하의 생성 1 김동렬 2015-07-22 3599
1128 인간의 뇌가 큰 이유 김동렬 2017-03-28 3598
1127 빠삐용 이금재. 2021-07-15 3595
1126 뜬다. 1 ░담 2011-02-16 3594
1125 서이초 선생님의 죽음으로 촉발된 교사들의 교육운동 상황 이상우 2023-09-01 3593
1124 구조론적 사유 1 김동렬 2016-03-17 3592
1123 세상의 초대 systema 2023-12-10 3591
1122 세계적인 김녕의 마을길 image 2 ahmoo 2016-04-15 3591
1121 이해의 이해 image 5 김동렬 2015-01-29 3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