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냥모
read 4322 vote 0 2015.04.04 (12:00:27)

순수의 시대.jpg


영화 <순수의 시대>를 제대로 본 건 아니지만, 영화를 제작하는 사람들이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이 해외의 역사를 기반으로 한 영화와 다르다. 그냥 다른게 아니라, 시간에 역행하고, 진보에 역행한다는 느낌.

말하자면 이런거. 어느 시골마을의 소년 서넛이서 뭔가를 발명했는데, 그것으로 인해 마을이 시끌벅적, 도시가 시끌벅적 , 국가가 시끌벅적, 세계가 시끌벅적하여 인류 역사를 바꾸었다. 이렇게 하나의 작은 사건이 점점 커지는 과정이 외국 역사물의 주된 흐름.

반대로 당시 세계정세가 이렇고, 국내 정세가 이렇고, 그 중심에 어떤 인물들이 있었는데, 뭔가를 해보려다가 잘 안되고, 연애같은 개인사에 목숨걸다가 결국 장렬하게 죽었다더라... 이런식으로 거창하게 시작해서 용두사미로 끝난다. 나름 할만큼 했다는 식이다.

외국은 그런식으로 만들고, 한국은 이런식으로 만들고, 다를 수도 있고,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면, 완전바보인 거다.

우리가 역사물을 왜 봐야 하는가? 역사물은 왜 만드는 것인가? 역사적 사실관계를 규명하려면 다큐를 보면 된다. 애초에 역사물은 의도를 가지고 만드는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탈춤

2015.04.04 (12:50:45)

그렇죠 ~

의도를 가지고  설계해야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656
1426 영어에 토를 달자 6 김동렬 2017-07-11 4331
1425 지성인이 되고 싶습니다. 1 빨간풍차 2008-12-28 4330
1424 시대전환: 개발에서 관리의 시대로 (미시적 관점) image dksnow 2022-07-22 4329
» 역사 영화는 왜 만드는가? image 1 냥모 2015-04-04 4322
1422 Ⅰ. 왜 구조론인가? (논문 발췌) 오세 2010-11-12 4323
1421 한국은 유목민의 나라다 image 3 김동렬 2016-07-25 4322
1420 달 세계 여행 김동렬 2015-03-17 4321
1419 장하준 교수를 만났소.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12-22 4319
1418 정몽주의 실패 김동렬 2014-05-19 4311
1417 지진 무개념 일본 image 4 김동렬 2016-10-18 4309
1416 Sheer 바람21 2022-07-31 4305
1415 조선의 3권분립 1 김동렬 2015-03-03 4302
1414 손주은이나 대치동 똥강사들보다 100배 낳은 최겸 image 3 dksnow 2022-12-07 4301
1413 순간 계산 궁금하오 17 지여 2011-01-10 4284
1412 척추동물의 탄생? 4 김동렬 2012-03-06 4283
1411 하나부터 열까지 다 허튼소리. image 4 김동렬 2012-07-03 4282
1410 폭락전야 image dksnow 2022-08-31 4281
1409 중국의 역사 김동렬 2015-11-14 4281
1408 문제 - 제갈량의 승산은? image 4 김동렬 2013-02-13 4281
1407 쫄지 말아야 진보다. 1 김동렬 2012-01-05 4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