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7557 vote 0 2015.04.02 (18:09:20)

17.jpg


20.jpg 21.jpg

22.jpg

23.jpg



 


   
    에너지로 보는 눈을 얻어야 한다. 과일의 단면이 대칭성을 띠는 것은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서다. 식물의 잎이 대칭을 띠는 것은 자라기 위해서다. 그런데 대칭은 방어에 강하지만 공격에 약하다. 동물은 비대칭을 따라야 한다. 힘을 전달하려면 외부와의 관계에도 대칭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축은 외부의 대상과 만나는 접점에 있어야 한다. 악수를 한다면 두 사람의 대칭은 둘이 마주치는 손에 있어야 한다. 대칭을 유지하면서도 외부와 접촉면을 가진 나선구조가 된다. 나선으로도 부족하여 척추동물이 탄생하게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097 수렴모형이냐 확산모형이냐? image 2 김동렬 2015-04-25 8748
3096 세상은 이렇게 만들어졌다. image 17 김동렬 2015-04-24 7868
3095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image 2 김동렬 2015-04-23 6821
3094 대결하지 말라 image 김동렬 2015-04-21 7072
3093 창조자의 관점으로 보라 image 김동렬 2015-04-20 6527
3092 세상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image 3 김동렬 2015-04-17 7291
3091 의도가 지배한다 12 김동렬 2015-04-16 7711
3090 자연과 인간 image 13 김동렬 2015-04-14 9379
3089 공자와 뉴턴 image 4 김동렬 2015-04-13 7500
3088 원인은 에너지를 타고 들어온다. image 김동렬 2015-04-13 6989
3087 공자는 왜 위대한가? image 3 김동렬 2015-04-13 8105
3086 창조냐 구조냐? image 1 김동렬 2015-04-12 6405
3085 구조론과 그 적들 image 4 김동렬 2015-04-11 32878
3084 구조주의자의 자격 image 김동렬 2015-04-08 7711
3083 공자는 무엇을 가르쳤는가? image 김동렬 2015-04-08 7071
3082 통합적인 시선을 얻어라. image 김동렬 2015-04-08 6953
3081 볼테르와 그의 친구들 2 김동렬 2015-04-06 7055
3080 대칭의 추적 image 김동렬 2015-04-03 6432
» 대칭의 출발 image 김동렬 2015-04-02 7557
3078 이 안에 다 있다 image 김동렬 2015-04-01 8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