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622 vote 0 2015.04.02 (18:09:20)

17.jpg


20.jpg 21.jpg

22.jpg

23.jpg



 


   
    에너지로 보는 눈을 얻어야 한다. 과일의 단면이 대칭성을 띠는 것은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서다. 식물의 잎이 대칭을 띠는 것은 자라기 위해서다. 그런데 대칭은 방어에 강하지만 공격에 약하다. 동물은 비대칭을 따라야 한다. 힘을 전달하려면 외부와의 관계에도 대칭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축은 외부의 대상과 만나는 접점에 있어야 한다. 악수를 한다면 두 사람의 대칭은 둘이 마주치는 손에 있어야 한다. 대칭을 유지하면서도 외부와 접촉면을 가진 나선구조가 된다. 나선으로도 부족하여 척추동물이 탄생하게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86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712
3092 세상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image 3 김동렬 2015-04-17 6297
3091 의도가 지배한다 12 김동렬 2015-04-16 6804
3090 자연과 인간 image 13 김동렬 2015-04-14 8211
3089 공자와 뉴턴 image 4 김동렬 2015-04-13 6480
3088 원인은 에너지를 타고 들어온다. image 김동렬 2015-04-13 5922
3087 공자는 왜 위대한가? image 3 김동렬 2015-04-13 6976
3086 창조냐 구조냐? image 1 김동렬 2015-04-12 5199
3085 구조론과 그 적들 image 4 김동렬 2015-04-11 31091
3084 구조주의자의 자격 image 김동렬 2015-04-08 6706
3083 공자는 무엇을 가르쳤는가? image 김동렬 2015-04-08 6008
3082 통합적인 시선을 얻어라. image 김동렬 2015-04-08 5979
3081 볼테르와 그의 친구들 2 김동렬 2015-04-06 6119
3080 대칭의 추적 image 김동렬 2015-04-03 5436
» 대칭의 출발 image 김동렬 2015-04-02 6622
3078 이 안에 다 있다 image 김동렬 2015-04-01 7356
3077 대칭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5-03-31 6924
3076 대칭에서 비대칭으로 image 1 김동렬 2015-03-30 6704
3075 구조는 대칭이다 image 5 김동렬 2015-03-29 8930
3074 구조론은 쉽다 image 2 김동렬 2015-03-27 5468
3073 구조론으로 시작하자 image 김동렬 2015-03-26 5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