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504 vote 0 2015.04.02 (18:09:20)

17.jpg


20.jpg 21.jpg

22.jpg

23.jpg



 


   
    에너지로 보는 눈을 얻어야 한다. 과일의 단면이 대칭성을 띠는 것은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서다. 식물의 잎이 대칭을 띠는 것은 자라기 위해서다. 그런데 대칭은 방어에 강하지만 공격에 약하다. 동물은 비대칭을 따라야 한다. 힘을 전달하려면 외부와의 관계에도 대칭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축은 외부의 대상과 만나는 접점에 있어야 한다. 악수를 한다면 두 사람의 대칭은 둘이 마주치는 손에 있어야 한다. 대칭을 유지하면서도 외부와 접촉면을 가진 나선구조가 된다. 나선으로도 부족하여 척추동물이 탄생하게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220 존엄의 의미 image 3 김동렬 2014-12-11 6569
3219 구조론의 출발점 image 1 김동렬 2015-05-22 6562
3218 인간은 에너지를 원한다. 4 김동렬 2018-07-29 6552
3217 맨 처음 이야기 image 3 김동렬 2015-01-22 6551
3216 마음의 문제 1 김동렬 2018-08-10 6550
3215 논어 10, 충고하면 친구가 아니다 image 김동렬 2016-02-07 6550
3214 아름답다는 것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6-08-15 6546
3213 의사결정원리 총정리 image 김동렬 2015-06-25 6546
3212 아리스토텔레스의 4 원인 1 김동렬 2018-08-29 6542
3211 동적균형의 발견 김동렬 2014-08-10 6542
3210 서구철학은 죽었다 image 4 김동렬 2016-04-25 6540
3209 한恨이란 무엇인가? image 5 김동렬 2015-01-21 6538
3208 F1 머신의 운전자 image 3 김동렬 2015-03-02 6533
3207 이상주의로 나아가라 image 6 김동렬 2015-02-27 6529
3206 에너지는 유체와 같다 image 8 김동렬 2015-02-06 6529
3205 결정적인 한 방은 무엇인가? image 3 김동렬 2015-03-24 6522
3204 돈을 찍어야 경제가 산다 image 6 김동렬 2015-01-11 6521
3203 포스트모더니즘은 없다 image 2 김동렬 2016-08-30 6519
3202 토기장이의 비유 image 4 김동렬 2015-04-29 6508
» 대칭의 출발 image 김동렬 2015-04-02 6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