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619 vote 0 2015.04.02 (18:09:20)

17.jpg


20.jpg 21.jpg

22.jpg

23.jpg



 


   
    에너지로 보는 눈을 얻어야 한다. 과일의 단면이 대칭성을 띠는 것은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서다. 식물의 잎이 대칭을 띠는 것은 자라기 위해서다. 그런데 대칭은 방어에 강하지만 공격에 약하다. 동물은 비대칭을 따라야 한다. 힘을 전달하려면 외부와의 관계에도 대칭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축은 외부의 대상과 만나는 접점에 있어야 한다. 악수를 한다면 두 사람의 대칭은 둘이 마주치는 손에 있어야 한다. 대칭을 유지하면서도 외부와 접촉면을 가진 나선구조가 된다. 나선으로도 부족하여 척추동물이 탄생하게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44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247
3831 여자가 잘해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8-05-27 10276
3830 상대성이 절대성이다. image 김동렬 2016-10-19 10275
3829 밀도를 볼 수 있다. image 김동렬 2016-10-22 10272
3828 기본이 안된 분들께 image 9 김동렬 2013-06-30 10266
3827 의외성을 활용하라 image 3 김동렬 2013-06-19 10261
3826 구조론연구소의 방법 image 18 김동렬 2014-03-20 10258
3825 눈앞의 황금은 챙겨라 image 2 김동렬 2013-05-17 10256
3824 입자와 파동 image 김동렬 2013-06-24 10252
3823 무신론자의 문제 image 4 김동렬 2018-05-14 10246
3822 세 법 술의 경제학 1 김동렬 2013-02-15 10241
3821 구조론 개요 김동렬 2013-07-28 10238
3820 생각의 교과서 image 1 김동렬 2013-08-28 10227
3819 기사도와 선비정신 image 1 김동렬 2018-05-18 10224
3818 구조론의 최종결론 1 김동렬 2013-08-05 10219
3817 문희상의 사망선고 김동렬 2005-10-27 10217
3816 사과는 어디에서 왔는가? 2 김동렬 2013-08-07 10215
3815 진화론과 창조론 image 8 김동렬 2013-08-20 10206
3814 멍박이 뻘짓 경계하자 김동렬 2006-11-04 10199
3813 학문의 역사 김동렬 2005-12-27 10199
3812 깨달음의 언어 image 1 김동렬 2013-02-07 10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