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627 vote 0 2015.04.02 (18:09:20)

17.jpg


20.jpg 21.jpg

22.jpg

23.jpg



 


   
    에너지로 보는 눈을 얻어야 한다. 과일의 단면이 대칭성을 띠는 것은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서다. 식물의 잎이 대칭을 띠는 것은 자라기 위해서다. 그런데 대칭은 방어에 강하지만 공격에 약하다. 동물은 비대칭을 따라야 한다. 힘을 전달하려면 외부와의 관계에도 대칭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축은 외부의 대상과 만나는 접점에 있어야 한다. 악수를 한다면 두 사람의 대칭은 둘이 마주치는 손에 있어야 한다. 대칭을 유지하면서도 외부와 접촉면을 가진 나선구조가 된다. 나선으로도 부족하여 척추동물이 탄생하게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45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409
3675 역학으로 본 진보와 보수 image 김동렬 2018-05-29 9338
3674 파리대왕의 나라 8 김동렬 2014-01-17 9338
3673 날아가는 총알을 다른 총알로 맞춰서 밀어주기 김동렬 2018-05-30 9324
3672 인간은 왜 잘생겼을까? image 2 김동렬 2016-08-08 9316
3671 약자의 딜레마 5 김동렬 2018-06-11 9315
3670 기본원리 image 김동렬 2013-11-07 9312
3669 삶의 인과법칙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9305
3668 독자의 반론에 대하여 김동렬 2003-05-15 9301
3667 구조론으로 본 진화원리 김동렬 2007-02-04 9300
3666 세상은 빵에서 나와 빵으로 돌아간다. image 김동렬 2016-10-12 9290
3665 응답하라 대한민국 1 김동렬 2013-12-17 9288
3664 대칭은 특이점의 공유다 image 김동렬 2013-11-05 9276
3663 SM, YG, JYP image 김동렬* 2012-10-21 9261
3662 스타일은 자기다움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9249
3661 깨달음의 문제 3 김동렬 2013-12-03 9245
3660 개는 불성이 없다. image 김동렬* 2012-10-21 9245
3659 칸 앞에서 토론 image 1 김동렬 2013-06-17 9244
3658 사과 안에는 사과가 없다. image 김동렬 2018-05-28 9243
3657 닥치고 모형을 내놔봐. 2 김동렬 2013-11-18 9239
3656 구조론 최종보고 image 김동렬 2016-10-17 9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