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8]아제
read 2275 vote 0 2015.01.03 (13:50:07)

stream of consciousness.

인터넷 검색을 하면 검색의 검색의 검색의 강물이 우당탕.

바다로 흘러가는 지 하늘로 날아가는 지 중심은 없는 것인가.

 

하늘의 중심은 둘이 있는데 그것은 바다가 둘이 있기 때문이야.

90%의 북십자성과 10%의 남십자성.

별을 보는 방법은  눈물과 야망, 젊음의 북십자성과 노인의 남십자성, 기어코 그 둘 뿐인게야.

 

 


전영은 어디 쯤 도착했을까. 샛별같이 출발하여 십자성같이 눈을 감았나.

그러나 북십자성과 남십자성은 있어도 동십자성,서십자성은 욕이 나올 수 밖에.

아무리 검색무한육각면체의 세상이지만 별의 양심은 있어야지.클릭이 어찌 손가락이랴.

 

동서남북은 너의 똥이야기이고,별이야 북십자성 아니면 남십자성이야.

아하,그러나 남십자성에는 남극성이 없어.어쩌라고 원래 그런 것을.

stream of consciousness.자꾸만 좁아져서 별 하나 나 하나가 남지.

 

마지막에는 누가 남을까.

별이 남을래,너가 남을래.

가위 바위 보.

 


프로필 이미지 [레벨:8]아제

2015.01.03 (13:51:01)

동영상 올리기가 되었다,안되었다.

 

늙으면 주거야지..끙.

프로필 이미지 [레벨:6]id: 15門15門

2015.01.03 (14:10:51)

프로필 이미지 [레벨:6]id: 15門15門

2015.01.03 (14:11:41)


이 소스코드를


로 바꾸면 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01.03 (14:15:57)

모르는건 물어야지 끝까지 버티면 우짤라꽁.

고쳐놨으니 손대지 마쇼.

프로필 이미지 [레벨:8]아제

2015.01.03 (14:21:18)

땡규..

원리를 모르면 항상 불안하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01.03 (15:28:40)

어쩌구 하며 < 어쩌구> 괄호 안에 있는건

복사했다가 글쓰기 창 오른쪽 상단에 있는 HTML편집기를 누르면 파란색 네모가 뜨는데


파란 네모 안에 붙여넣기 한 다음 그 단추를 한 번 더 눌러서 보통으로 돌아와서 쓰면 됩니다.  

거기를 한번 들어갔다 나와야 해여.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3552 생각의 정석 100회 특집, 공개 유투브 생방송 후기 image 13 아란도 2015-11-14 3178
3551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5-11-13 1811
3550 [속보] 영덕주민투표, 핵발전소를 압도적으로 반대하다 수원나그네 2015-11-13 1980
3549 잠이오나요? 울산시민 여러분! 수원나그네 2015-11-13 1764
3548 목요강론은 생각의정석 특집으로 대신합니다 image 2 ahmoo 2015-11-12 2048
3547 인간의 부도덕성 1 상동 2015-11-11 1932
3546 죽음의 공포? 13 아나키 2015-11-09 3130
3545 원작과 대중문화 image 3 아란도 2015-11-08 2294
3544 당당하게 좀 삽시다 2 락에이지 2015-11-06 2392
3543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5-11-06 1787
3542 어긋나는 것이 정상이다 image 4 아란도 2015-11-05 2143
3541 구조론 목요 강론회 image ahmoo 2015-11-05 1731
3540 중독 02 2 kilian 2015-11-05 2336
3539 문제행동이 심한 아버지의 유형은? 5 이상우 2015-11-04 2296
3538 [김어준] 투표한 곳에서 수개표해야 1 수원나그네 2015-11-04 2063
3537 [오마이뉴스] 재보선 사전투표함 cctv 없이 관리 ㅡ부정선거 사각지대 수원나그네 2015-11-04 1809
3536 [생각의 정석 100회 특집 공개방송 안내] image 8 냥모 2015-11-03 2477
3535 jtbc 송곳 2 챠우 2015-11-02 2633
3534 올바른 떡볶이 5 한너울 2015-10-30 2782
3533 육룡이 나르샤를 보면서 까뮈 2015-10-29 2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