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719 vote 1 2015.01.02 (20:35:22)



이 동영상에 따르면 인류는 무려 6백만년 전부터 진작에 직립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300만년 전에 침팬지 무리에서 갈라져 나왔다는 기존의 학설은 틀린 것일 수 있다고 합니다.


예상과 달리 600만년 전의 직립은 이후 수백 만년간 뇌용적을 전혀 늘리지 않았다고 합니다.

200만년 전에 갑자기 영장류의 뇌용적이 늘어났다는 겁니다.


뇌용적의 증가는 당시 일어난 북아프리카의 주기적인 환경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진화를 촉발했다는 점은 구조론과 가깝습니다


변화 그 자체가 인류의 진화를 촉발했다고

당시 환경이 호수에서 사막으로 다시 호수로 계속 바뀌었다는 거.


잦은 환경변화가 키질효과로 뇌용적이 작은 영장류를 제거한 거.

대진화는 대멸종과 관계가 있습니다.


대멸종은 불안정한 신종의 환경적응을 도우니까요.

진화는 모듈 단위로 일어나므로 불안정하며 진화한 종은 초기에 살아남기 어렵고


그 때문에 진화는 잘 일어나지 않으며

유전체계에서 관측되는 많은 부분은 진화가 아니라 반대로 진화의 방해입니다.


그 방해의 빗장이 풀릴 때 그러한 마이너스에 의해 진화가 일어나는 거.

즉 무에서 갑자기 진화가 플러스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예비되어 잠복해 있던 진화가 어떤 계기로 방해자가 제거되어 빗장이 풀리는 형태로 

진화가 일어나며 자연의 많은 부분들은 그러한 빗장의 풀림을 막아 


진화가 잘 일어나지 않도록 세팅되어 있습니다.

이는 앞으로 더 많은 진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없다는 뜻이며


반대로 인류가 멸종할 대재앙이 닥치면 대단한 진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거.

지구는 작은 별이고 누가 뜨려면 누가 자리를 비켜주어야 한다는 거. 


진화가 모듈단위로 일어난다는 것은 기존의 집단 안에서 

갑자기 진화한 개체가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먹이선택부터 걷는 방법, 도구사용 방법 등 모든 것이 다르니까.

진화한 개체는 소속한 집단을 떠나 완전히 다른 서식지로 옮겨가야 한다는 거죠.


그럴 가능성이 없으므로 반대로 환경이 다른 데로 옮겨가 버리면

기존의 무리는 먹이를 찾아 다른 곳으로 이동해 버리고


반면 진화한 개체는 무리를 따라가지 않고 거기에 남는다는 거죠.

진화한 개체는 변한 환경에 따라 달라진 먹이에 적응할 수 있으니까.


침팬지가 주로 풀이나 과일을 먹는데 비해 

인간이 지렁이나 올챙이 개구리 물고기 등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훨씬 다양한 먹이를 취식한다는 거.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8879
1018 콘텐츠란 무엇인가? 챠우 2014-11-25 3383
1017 팔푼이들을 제압하는 방법 김동렬* 2012-10-21 3382
1016 완벽한 설명 이상우 2022-09-23 3379
1015 생각의 정석 91회 image 3 오세 2015-08-29 3379
1014 생각의정석 23회 (스크립트 추가) 5 오세 2014-01-23 3379
1013 싸이와 함께 말춤을 3 ahmoo 2012-11-05 3378
1012 괜찮은 건축의 방향 image 4 김동렬 2016-12-31 3376
1011 김현수와 babip 김동렬 2016-04-11 3376
1010 돈이란 무엇인가 dksnow 2022-10-20 3372
1009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3-03-09 3371
1008 우리말의 뿌리 image 김동렬 2016-01-22 3371
1007 이것이 미륵의 힘이다. image 1 김동렬 2016-10-25 3370
1006 생각의 정석 67회 1 오세 2015-02-22 3370
1005 [제민포럼] 답은 하나다 image 5 ahmoo 2014-10-03 3370
1004 번개만들기 image 김동렬 2017-04-11 3369
1003 생각의 정석 꼭지 8 차우 2014-09-13 3369
1002 생각의 정석 118회 1 오세 2016-03-19 3368
1001 개체무죄 집단유죄 1 담 |/_ 2013-03-14 3364
1000 협동조합의 문제 김동렬 2014-10-19 3361
999 생각의 정석 126회 오세 2016-05-07 3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