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계의 자의성설은 틀렸다.
● 언어는 임의로 명명된 것이 아니라 단계적으로 진화한다.
● 모든 단어는 손짓, 발짓, 몸짓, 혀짓, 턱짓의 보드랭귀지에서 진화했다.
● 원시언어는 혀와 턱과 입술로 사물을 가르키는 동작에서 출발한다.
● 모든 어휘의 조상은 명사가 아니라 동사이다.
● 명사는 동사가 발전하여 성립한 보다 진화한 언어이다.
[문법의 원리]
최초의 언어는 동사이고 동사는 하나의 음절로 된 하나의 단어이므로 문장의 형태를 가지지 않았다. 이때 사람들은 발성보다는 그 발성을 유발하는 과정에서 혀와 턱과 입술의 동작을 보고 의미를 포착한다.
즉 소리를 듣고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들은 소리를 똑같이 모방해서 자신이 발성해 보았을 때 혀와 턱과 입술이 움직이는 동선을 보고 의미를 헤아리는 것이다.
[문장의 구조]
● 가자.(동사)
● 야!(상대방을 주목하게 한다.)+가자(동사)
● 주목(주어)+동사(술어)로 발전한다.
[우리말 어순]
● 주목+제 2의 주목+제 3의 주목+동사로 발전한다.
● 갔다. 누가 갔지? 내가 갔다. 어디를 갔지? 학교에 갔다. 왜 갔지? 밥먹으러 갔다. 이 순서로 자문자답 하는 과정에 나는+학교에+밥먹으러+갔다는 문장이 만들어진다.
● 동사를 앞세우고 동사라는 거울에 비쳐보는 것이다. 이 과정은 전체>부분으로 연역된다.
[영어 어순]
● 우리말이 거울(동사)에 비치기라면 영어는 달아매기다.
● 주어+동사의 어순은 우리말과 같다.
● 주어+동사 다음부터는 귀납으로 전개한다.
나는 갔다+ 뭐하러 갔지? 밥먹으러+ 밥은 어디에서 먹지? 학교에서+학교는 어디에 있지? 서울에 =나는+갔다+밥먹으러+학교에+서울의
[우리말과 영어]
우리말 어순은 동사를 앞세워 마음의 거울에 뛰워 놓고 나머지는 연역의 순으로 전개하여 풀어낸다. 문장이 진행되는 동안 동사는 달처럼 공중에 떠서 단어들을 하나씩 퍼올린다. 이때 동사는 두레박과 같다. 또는 거울과 같다.
영어는 주어+동사 까지는 우리말과 같고 그 다음부터는 앞의 단어가 뒤의 단어를 연쇄적으로 낚아올리는 형태로 되어 있다. 즉 호랑이 꼬리를 당기면 호랑이 엉덩이가 나오고 엉덩이를 당기면 호랑이 몸통이 나오고 호랑이 몸통을 당기면 호랑이 머리가 딸려나오는 형태로 단계적으로 귀납한다.
우리말은 범위가 점점 좁아지고 영어는 동사 다음부터 범위가 점점 넓어진다. 모든 언어의 중심이 동사이다. 동사를 마음에 떠올려야 다음 행동이 착상된다.
우리말과 영어의 차이는 우리말은 동사를 마음에 띄울 뿐 말하지 않고 주어와 동사가 핑퐁식으로 서로를 비추며 문장을 전개하는데 비해 영어는 동사를 말해이미 버려서 주어와의 관계가 희미해진 상태에서 이미 말해진 동사가 차례로 끌고 나가는 형태로 전개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영어는 주어를 생략할 수 없다.
우리말은 핑퐁식으로 주거니 받거니 하며 동사를 비추기 위하여 주어가 계속 기능하기 때문에 주어를 생략해도 의미가 전달된다. 동사가 주어가 있는 방향을 비춰주기 때문이다. 이는 총알이 진행하면 총알의 반대편에 총이 있다는 사실을 말 안해도 알 수 있는 것과 같다.
이 원리를 알면 영어 문법을 몰라도 대략 추측할수 있다. 대략 추측해도 문법의 70프로는 맞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