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3]낙오자
read 2033 vote 0 2014.12.12 (19:20:45)

쉐퍼드 그림을 본 순간 이 사람은 어린아이의 뇌를 가졌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또 성철스님 예와 같이 나이든 고승들이 천진난만한 아이의 얼굴을 갖고 있는 것을 가끔 보게되는데요,  고도의 지성과 아이의 마음이 하나로 통합되어 있는 어떤 이상적인 모습을 봅니다.

구조론은 이 어른 속 아이의 뇌를 어떻게 보는 지 궁금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4.12.12 (20:06:24)

그림을 보여주시죠.
[레벨:3]낙오자

2014.12.12 (21:58:02)

푸우 그림 맞습니다^^

E.H.Shepard

[레벨:6]홍가레

2014.12.12 (21:35:16)

시사리트윗에 곰돌이 푸우 그림보고 말한것 같은데요 ㅎ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4.12.13 (09:35:13)

유명한 천재 노인들이 아이에 집착한다면 

뇌의 노화에 따른 단순한 퇴행현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거기에도 어떤 직관적인 깨달음은 있을 수 있습니다.

디자인의 궁극은 대승이며, 대승은 팀이고, 팀을 디자인하면 어린이 취향이 됩니다.


한 개의 탁자를 디자인하는 것과 탁자와 의자, 거실 세트를 디자인하는건 다르죠.

한 작품 안에 포함되는 개체의 수가 늘수록 심플해지고 유아틱해집니다.


숫자가 늘면 마찰하여 어색해지고, 이 어색함을 타개하면 유아틱하게 되는 거죠.

할배천재들이 본능적으로 이런 점을 직관했을 수 있지만 그다지 의미는 없습니다.


푸우의 원작자가 어떤 생각을 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림은 잘 그리네요.

그러나 충분한 연구 끝에 얻은 계산적인 그림으로 봅니다.


다른 동화나 그림에도 보이는 상투적인 조합이 많습니다.

다른 동화에 나오는 겁쟁이 사자가 여기서는 겁쟁이 티거로 나오고.


성철스님은 나이가 많아도 고집통이었다고 봅니다.

다만 TV가 원하는 표정을 지어준 적은 있겠죠.


그 표정은 TV가 만들어낸 표정이 아닐까요?

가까이에서 모신 분만 알겠으나 그 분의 증언에 의하면 쇠고집이라고.

[레벨:3]낙오자

2014.12.13 (21:44:29)

디자인-대승-팀-유아틱

 

어색함을 타개하면 유아틱해진다!

 

유아틱이 이렇게 심오한 말이었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112 김영란법 9월(대통령령) 시행 1 아나키 2016-08-01 2039
1111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6-02-26 2039
1110 [오마이뉴스] 사찰 순례하며 "월성1호기 폐쇄하라" 8 수원나그네 2015-09-14 2039
1109 효(孝)의 문제.... 1 배태현 2014-05-14 2039
1108 획기적인 태양광 천 ! 수원나그네 2015-04-25 2038
1107 요새 뜨는 블박 영상. 차우 2014-11-25 2038
1106 부재 image 3 아란도 2014-07-25 2038
1105 언어, 사고, 세계, 서울주제모임 공지 챠우 2016-05-04 2037
1104 인간의 피질은 어떻게 구조되어있는가? 서울 주제 모임 4차 재공지 챠우 2016-04-02 2037
1103 맞는 비유인지 모르겠습니다만... 5 다원이 2015-12-09 2037
1102 목요강론은 생각의정석 특집으로 대신합니다 image 2 ahmoo 2015-11-12 2037
1101 6일 구조론 광주모임안내 탈춤 2013-09-06 2037
1100 오늘의 계획 3 불그스레(旦) 2014-09-26 2036
1099 구조론의 풍골님 image 4 아란도 2014-09-20 2036
1098 이 가수 너무 멋있습니다. 까뮈 2016-11-30 2035
1097 <해피엔딩> image 3 아란도 2014-09-05 2035
1096 가정에서 이뤄지는 물리적인 아동학대에 대하여... 이상우 2015-03-16 2034
» 쉐퍼드 그림 보고 질문드립니다. 5 낙오자 2014-12-12 2033
1094 탈핵안전연구소 창립준비세미나 image 수원나그네 2014-07-03 2034
1093 구조 경제학 systema 2016-06-03 2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