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베이징을 한번 다년 온 것을 제외하고 외국을 한번도 나가지 보지 않은 국내파로

영어를 독학한 사람이 바라볼 때,

영어와 한국어는 많은 차이를 가지고 있다.

하나 예를 들어 보면, 한국어의 존칭을 들을 수 있는데

한국어는 한번 언니는 영원한 언니이고

한번 오빠는 영원한 오빠로

태어난 순서데로 언어에도 존칭이 정해지며 그 존칭은 평생간다.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무조건 서열이 정해져 버리며,

어느 상황에서건 나이순 서열은 벗어날 수 없다.

그래서 말싸움을 하다가 연장자가 논리에 힘이 딸릴 때,

마지막으로 뱉는 사람이 "나이도 나보다 어린 놈이 까분다"로

종전을 선언하지만, 이 말이 나왔을 때는  이미 싸움에서 진 것이다.

 

영어에도 예절이 있다.

우리가 제일 실어하는 문법데로 얘기하면 굉장히 정중한 말이며,

동사만 얘기하거나 명사만 내 뱉는 것은 baby talk이다.

그래서 정말 영어를 잘하고 싶다면 영어문장의 구조를 알아야 하고

이 문장의 구조는 문법이다.

자신이 모국어가 영어여서 자연스럽게 체득하였다면 문법을 몰라도 되지만,

제2의 언어로, 한국어와 사고방식이 다른 영어,

문장의 시간의 순서가 한국어와 다른 영어를 잘하려면 문법은 필수이다.

문법을 배우고 싶지 않다면 baby talk에서 더 이상 영어실력이 진화하지 않을 수 도 있다.

 

영어에도 예절이 있다.

영어는 굉장히 겸손하게 문장을 표현해야 예절이 있는 문장이 있다.

한국어: 신분증 좀 보여주세요.

영어: Could I have your ID Card?

같은 뜻을 가지고 있지만, 영어문장은 직역하면 내가 당신의 신분증을 가질 수 있을까요?

내가 가질 수 있냐고 나를 주어로 내세워서 문장을 겸손하게 만든다.

"Let me ask you something?: 직역하면 내가 당신에게 무엇을 질문하도록 두겠어요?"

한국어에는 이렇게 쓰는 말이 없다.  "질문 있습니다."로 바로 나아간다.

그래서 한국어에서 영어초보자인 내가 미국에 편지를 쓸 때

한국어의 버릇으로 직접적으로 쓰면 답장을 받기가 곤란해진다.

 

영어도 굉장히 예절이 있는 언어지만 그것이 한국처럼 나이나 태어난 순서가 아니라

문장에서 직접적으로 궁금한 것을 묻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예절이며

한국어가 때와 장소에 관계없이 존칭이 정해지만

영어는 그 상황에 따라 문장의 예절이 정해진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2032 신해철이 말하는 음악이야기들 3 락에이지 2014-10-27 2592
2031 넥스트 The Ocean 불멸에 관하여 4 차우 2014-10-27 3123
2030 넥스트 The Destruction of the Shell : 껍질의 파괴 2 락에이지 2014-10-28 2580
2029 중국인은 결코 변하지 않는다. image 3 김동렬 2014-10-29 4549
2028 구조론 목요 토론회 image 1 ahmoo 2014-10-30 1891
2027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4-10-31 1815
2026 11월19일 강연회 - 조선일보는 어떻게 해서 옥천에서 쫓겨났나? image 2 수원나그네 2014-10-31 2883
2025 사람이 아닌 자동차를 위한 자동차 3 파워구조 2014-11-03 2007
2024 모바일용 PC화 구현 2 펄젬 2014-11-03 1991
2023 이번주<한겨레21> 표지기사 - 수원대의 검은 우산 image 4 수원나그네 2014-11-04 4799
2022 뉴욕, 섹스, 그리고 자유라는 공기. 1 눈내리는 마을 2014-11-04 2713
2021 영화 - 그을린 사랑 2 아란도 2014-11-04 2542
2020 내년에는 과연 이글스가 9위를 탈출 할까? 2 오리 2014-11-04 19617
2019 그때 그시절 프로야구 김동렬 2014-11-04 2236
2018 사라져버린 쪽박섬 image 2 김동렬 2014-11-05 3224
2017 마왕이라 불리운 사나이에 대한 의혹 image 락에이지 2014-11-06 3956
2016 신해철 고의 살인을 읽고 찾아본 결과. 영화 공모자가 떠올라.. 무진 2014-11-06 5177
2015 목요 구조강론회 image ahmoo 2014-11-06 1871
2014 미니 시루 워머 image 5 아란도 2014-11-06 2800
» 서울에서 바라 본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 스마일 2014-11-06 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