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read 3382 vote 0 2014.11.25 (18:22:12)

중요한 것은 개인과 집단의 팽팽한 대결구조 자체가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다. 영화나 음악이나 문학이나 패션이나 디자인과 같은 문화적 양식은 그 긴장상태를 유지할 목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다.(구조론 연구소 '깨달음의 문제' 중 발췌)


콘텐츠란 무엇인가?

콘텐츠는 문화다. 문화는 유행이다. 유행은 집단 안에서 수평적으로 공유되는 것이다. 개인이 이것을 소비한다고 착각하지만 집단 속의 개인이 소비할 때만 의미가 생긴다.

나홀로 즐기는 것은 자위다. 그것은 소외되는 것으로 허무할 뿐이다. 그러므로 콘텐츠는 근본적으로 소셜을 지향하고 있다. 개인은 집단 속의 일원이기 때문이다.

최근의 콘텐츠가 소셜을 지향하는 추세가 나타난다고 하지만 그것은 원래 지향하고 있었을 뿐이고, 사실 전자기기 발달 등 기술 발전에 따른 소셜을 지향하는 방법론에서의 발전만이 있었다.

과거에 영화를 보고 친구들과 카페에서 수다를 떨었다면, 지금은 영화라는 컨텐츠 안에서 소셜이 이뤄질 수 있게하는 소셜 게임이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즉 모든 콘텐츠는 처음부터 소셜이었다. 그것은 사람과 사람사이에 존재하는 것이다.

게임이론이 괜히 인간관계를 다루는게 아니다.

http://organicmedialab.com/2013/09/16/what-is-content/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958
937 공룡은 서서히 멸종했다. 김동렬 2016-04-19 3890
936 존엄에 대해 1 김동렬 2011-02-01 3895
935 미학(美學)은 기(起) 입니까? 1 함성한 2011-03-23 3898
934 깨어있는 시민의식. 아제 2010-12-15 3901
933 게시판 에러 때문에 이사감 20 김동렬 2013-01-22 3902
932 나쁜 카드를 선택하라. 2 김동렬 2011-10-31 3905
931 1인칭 주체적 관점의 예 image 6 김동렬 2014-08-19 3905
930 호모 날레디가 큰일났네. 김동렬 2017-04-26 3908
929 마이너스의 성질 3 아란도 2011-01-11 3910
928 북한은 완전 해갈인데 image 김동렬 2015-07-13 3910
927 박근혜 만화 발견 image 김동렬 2016-11-13 3911
926 [ 5월 13일 '만남' 동영상] 김동렬 대 오한흥 수원나그네 2017-05-20 3911
925 구조론 생각의 정석 13회 오세 2013-09-26 3917
924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6-01-22 3917
923 신립장군이 새재를 지켰다면? image 김동렬 2015-04-07 3919
922 꿈의 발견 3 담 |/_ 2013-06-03 3923
921 섬강에 배를 띄우면 image 8 김동렬 2013-02-19 3930
920 코끼리의 코는 처음부터 길었다. image 김동렬 2015-11-19 3930
919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4 김동렬 2013-01-10 3932
918 A Gain 최선최석규 2023-09-25 3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