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3]파워구조
read 2156 vote 0 2014.07.31 (00:19:59)


세월호 참사 문제에 뛰어들어서 한 달 간 아주 정신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오늘 오랜만에 김동렬 선생님의 강의를 들었습니다. 



"구조론은 곧 '관점'이다" 라고 거의 스포일러를 공개하듯 아예 못을 박고 시작하시는 이번 강의. 


서론 본론 결론의 순서가 아니라, 초반부터 결론을 쾅 못 박고서 시작하시는 이유는 


이번 강의 내용 자체가 "결론이 중요한 게 아니라 서론 즉 기승전결의 기가 전부"임을 다루고 있기 때문인 듯 합니다. 


++++++++++++++++++++++++++


에너지가 사건을 불러일으키고,

사건이 의사결정 과정을 유도해내며, 

의사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팀플레이(상호작용)를 해야 하고

팀플레이가 진보를 불러온다는 것. 


이 구조론의 프로세스도 이번 강의를 통해서 한 번 더 복습할 수 있었습니다. 


+++++++++++++++++++++++++++


기승전결에서 [기]만이 객관적으로 살아있는 단계이고, 

[승전결]은 모두 주관적이고 닫힌 혹은 죽어 있는 것. 


이란 선생님의 해설이 저에게는 완전히 새롭게 느껴지고 신선하고 충격적입니다. 


++++++++++++++++++++++++++++


하수에게 고수가 필요한 것도 당연한 것이지만, 

뒤집으면 고수에게도 하수가 필수라는 해설도 절 휘청이게 했구요. 


++++++++++++++++++++++++++++


시간은 살아있는 것이지만 

공간은 죽어있는 것. 


이 오묘한 말씀도 게시판에 이 글을 쓰는 지금은 이해가 잘 되고 있습니다. 


++++++++++++++++++++++++++++


기승전결을 

나무가 자라나고 열매를 맺는 과정에 빗대어 보면 이해가 더욱 쉬울 듯 합니다. 


기: 나무 종자일 것입니다. 종자를 땅에 심는 작업. 

     좋은 종자도 필요하고, 

     비옥하고 양지바른 땅을 잘 고르는 안목도 필수겠지만, 

     무엇보다 종자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시간" 일 테니까요. 


승: 종자가 잎사귀를 틔우고 키도 무럭무럭 자라는 단계. 

전: 열매를 맺는 단계. 

결: 농부가 열매를 모두 수확해간 이후의 단계. 



기 단계에서 종자는 아직 공간에 얽매여있지 않는군요. 

하지만 기 이후의 단계에서는, 나무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습니다. 

공간에 갇히게 되는 것이군요. 


++++++++++++++++++++++++++++++


또 다른 저의 해석으로는, 


승전결은 위치 (육하원칙 중 어디where 를 중요시 하는)의 세계인 것 같습니다. 수렵민의 세계죠. 

호랑이가 어디있을까. 곰은 어디에 가면 잡을 수 있을까. 


기는 어디, 를 중요시하기 보다는 '어떻게how' 그리고 '언제when'이 관거인 것 같습니다. 농경민의 세계인 것이죠. 


++++++++++++++++++++++++++++++


자동차를 타는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면 안 되고, 

자동차의 입장에서 생각해야 한다는 '철학론'이 가장 인상깊었습니다. 


시를 공부하는 저의 입장에서 특히 울림이 컸습니다. 

시는 사물과의 상호작용에서 창작될 수 밖에 없습니다. 

대부분의 서정시들이 사물에 시인의 마음을 투사하여 감정을 언어화합니다. 


이 서정시들이 요즘 비판받고 있기도 합니다. 

사물의 고유의 사물성을 시로 승화시키지 않는, 

사물을 인간의 마음을 형상화하기 위한 재료 정도로 취급하는, 

(예를 들면 연탄시인 안도현의 작품이 이 전형입니다.) 



시의 서정성과 

시인 vs 사물의 사물성


이 상호 작용에 대해서는 저도 좀 더 고민을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



김동렬 선생님, 유튜브 강의 이번에도 아주 잘 들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4.07.31 (00:28:09)

기승전결은 봄여름가을겨울로도 볼 수 있죠.

한해농사는 봄의 파종단계에서 거의 결정됩니다. 


야구로 말하면 봄은 스토브리그인데 


류현진 영입 -> 올해농사 대성공

류현진 방출 -> 올해농사 대실패


그런데 봄의 파종이 비슷하다면 여름에 승부가 납니다. 

여름의 가꾸기가 비슷하다면 가을에 승부가 납니다.

가을의 수확이 비슷하다면 겨울의 저장이 승부를 냅니다.


그런데 잘 살펴보면 여름, 가을, 겨울은 봄 속에 숨어 있습니다. 

그때가봐야 안다는건 모르는 사람 생각이고 투표하기도 전에 이미 결론이 나와 있습니다. 


봄은 에너지-스토브리그 때 류현진을 영입하였는가?

여름은 사건-시범경기에서 주전과 2군을 결정하였는가? 

가을은 의사결정-페넌트레이스에서 가을야구로 올라갔는가?

늦가을은 팀플레이-최종적으로 우승했는가?

겨울은 진보 - 연봉이 올랐는가? 

[레벨:3]파워구조

2014.07.31 (16:52:42)

계절로도 비유가 가능하군요! 


계절이야말로 시간의 순환의 가장 확실한 표상이니까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_ _)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4.07.31 (17:22:38)

에너지 - 돈이 생겼다.

사건 - 회사를 창업한다.(외부환경에 대응, 외부에서 강제되는 수가 있으므로)

의사결정 - 사무실 얻고 직원선발(거의 혼자 결정해야 함)

팀플레이 - 사장은 골프치러 다니고 직원들이 일을 다 함.

진보 - 돈을 벌고 신분상승함.


처음 에너지가 필요한건 너무나 당연하므로 누구나 이해할 것.

두번째가 사건인 이유는 내가 다 하는게 아니고 상대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

누군가를 만나야 이야기가 되는데 그게 사건.

세번째 의사결정은 상대를 만난 다음에 하는 거.

네번째 팀플레이는 결정한 것을 집행하는 단계는 자기가 다 할 이유가 없음.

마지막 진보는 그러한 과정이 내게 플러스가 되어야 한다는 거.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2912 고래날다 1분 초딩 영화 4 냥모 2014-08-03 2713
2911 내가 본 한국영화의 문제점 2 스마일 2014-08-03 3912
2910 아이패드용 리디북스 책장(인증샷) image 7 Ra.D 2014-08-02 3525
2909 슬로의 미학을 아는 록스타 1 까뮈 2014-08-01 1900
2908 새정치연합의 차기 당대표는? 4 까뮈 2014-08-01 2308
2907 천재의 업적이 천재만의 것일까? 굳건 2014-07-31 1943
» [관점의 문제] 강의를 듣고. 3 파워구조 2014-07-31 2156
2905 하수는 삽질을 이기지 못한다. 6 토마스 2014-07-30 3052
2904 종편내전 image 1 김동렬 2014-07-30 2278
2903 이번 주 구조론 모임 없습니다. ahmoo 2014-07-30 1810
2902 직업 테스트 16 아란도 2014-07-28 5405
2901 북유럽 가는데요. 조언을 구합니다. 11 이상우 2014-07-28 3133
2900 7.30 재보선 앞두고. 호야 2014-07-27 1927
2899 서당개 삼년이면... 4 영가비 2014-07-26 2304
2898 가을날의 봉화프로젝트 image 4 수원나그네 2014-07-26 2029
2897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4-07-25 1719
2896 믿습니다 내 믿음없는 걸 도와주세요 6 큰바위 2014-07-25 2228
2895 부재 image 3 아란도 2014-07-25 2038
2894 '故이보미와 김장훈' 보기 - 거위의 꿈 아란도 2014-07-25 2251
2893 아라비안 나이트 정권 해안 2014-07-24 1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