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3]파워구조
read 2160 vote 0 2014.07.31 (00:19:59)


세월호 참사 문제에 뛰어들어서 한 달 간 아주 정신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오늘 오랜만에 김동렬 선생님의 강의를 들었습니다. 



"구조론은 곧 '관점'이다" 라고 거의 스포일러를 공개하듯 아예 못을 박고 시작하시는 이번 강의. 


서론 본론 결론의 순서가 아니라, 초반부터 결론을 쾅 못 박고서 시작하시는 이유는 


이번 강의 내용 자체가 "결론이 중요한 게 아니라 서론 즉 기승전결의 기가 전부"임을 다루고 있기 때문인 듯 합니다. 


++++++++++++++++++++++++++


에너지가 사건을 불러일으키고,

사건이 의사결정 과정을 유도해내며, 

의사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팀플레이(상호작용)를 해야 하고

팀플레이가 진보를 불러온다는 것. 


이 구조론의 프로세스도 이번 강의를 통해서 한 번 더 복습할 수 있었습니다. 


+++++++++++++++++++++++++++


기승전결에서 [기]만이 객관적으로 살아있는 단계이고, 

[승전결]은 모두 주관적이고 닫힌 혹은 죽어 있는 것. 


이란 선생님의 해설이 저에게는 완전히 새롭게 느껴지고 신선하고 충격적입니다. 


++++++++++++++++++++++++++++


하수에게 고수가 필요한 것도 당연한 것이지만, 

뒤집으면 고수에게도 하수가 필수라는 해설도 절 휘청이게 했구요. 


++++++++++++++++++++++++++++


시간은 살아있는 것이지만 

공간은 죽어있는 것. 


이 오묘한 말씀도 게시판에 이 글을 쓰는 지금은 이해가 잘 되고 있습니다. 


++++++++++++++++++++++++++++


기승전결을 

나무가 자라나고 열매를 맺는 과정에 빗대어 보면 이해가 더욱 쉬울 듯 합니다. 


기: 나무 종자일 것입니다. 종자를 땅에 심는 작업. 

     좋은 종자도 필요하고, 

     비옥하고 양지바른 땅을 잘 고르는 안목도 필수겠지만, 

     무엇보다 종자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시간" 일 테니까요. 


승: 종자가 잎사귀를 틔우고 키도 무럭무럭 자라는 단계. 

전: 열매를 맺는 단계. 

결: 농부가 열매를 모두 수확해간 이후의 단계. 



기 단계에서 종자는 아직 공간에 얽매여있지 않는군요. 

하지만 기 이후의 단계에서는, 나무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습니다. 

공간에 갇히게 되는 것이군요. 


++++++++++++++++++++++++++++++


또 다른 저의 해석으로는, 


승전결은 위치 (육하원칙 중 어디where 를 중요시 하는)의 세계인 것 같습니다. 수렵민의 세계죠. 

호랑이가 어디있을까. 곰은 어디에 가면 잡을 수 있을까. 


기는 어디, 를 중요시하기 보다는 '어떻게how' 그리고 '언제when'이 관거인 것 같습니다. 농경민의 세계인 것이죠. 


++++++++++++++++++++++++++++++


자동차를 타는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면 안 되고, 

자동차의 입장에서 생각해야 한다는 '철학론'이 가장 인상깊었습니다. 


시를 공부하는 저의 입장에서 특히 울림이 컸습니다. 

시는 사물과의 상호작용에서 창작될 수 밖에 없습니다. 

대부분의 서정시들이 사물에 시인의 마음을 투사하여 감정을 언어화합니다. 


이 서정시들이 요즘 비판받고 있기도 합니다. 

사물의 고유의 사물성을 시로 승화시키지 않는, 

사물을 인간의 마음을 형상화하기 위한 재료 정도로 취급하는, 

(예를 들면 연탄시인 안도현의 작품이 이 전형입니다.) 



시의 서정성과 

시인 vs 사물의 사물성


이 상호 작용에 대해서는 저도 좀 더 고민을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



김동렬 선생님, 유튜브 강의 이번에도 아주 잘 들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4.07.31 (00:28:09)

기승전결은 봄여름가을겨울로도 볼 수 있죠.

한해농사는 봄의 파종단계에서 거의 결정됩니다. 


야구로 말하면 봄은 스토브리그인데 


류현진 영입 -> 올해농사 대성공

류현진 방출 -> 올해농사 대실패


그런데 봄의 파종이 비슷하다면 여름에 승부가 납니다. 

여름의 가꾸기가 비슷하다면 가을에 승부가 납니다.

가을의 수확이 비슷하다면 겨울의 저장이 승부를 냅니다.


그런데 잘 살펴보면 여름, 가을, 겨울은 봄 속에 숨어 있습니다. 

그때가봐야 안다는건 모르는 사람 생각이고 투표하기도 전에 이미 결론이 나와 있습니다. 


봄은 에너지-스토브리그 때 류현진을 영입하였는가?

여름은 사건-시범경기에서 주전과 2군을 결정하였는가? 

가을은 의사결정-페넌트레이스에서 가을야구로 올라갔는가?

늦가을은 팀플레이-최종적으로 우승했는가?

겨울은 진보 - 연봉이 올랐는가? 

[레벨:3]파워구조

2014.07.31 (16:52:42)

계절로도 비유가 가능하군요! 


계절이야말로 시간의 순환의 가장 확실한 표상이니까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_ _)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4.07.31 (17:22:38)

에너지 - 돈이 생겼다.

사건 - 회사를 창업한다.(외부환경에 대응, 외부에서 강제되는 수가 있으므로)

의사결정 - 사무실 얻고 직원선발(거의 혼자 결정해야 함)

팀플레이 - 사장은 골프치러 다니고 직원들이 일을 다 함.

진보 - 돈을 벌고 신분상승함.


처음 에너지가 필요한건 너무나 당연하므로 누구나 이해할 것.

두번째가 사건인 이유는 내가 다 하는게 아니고 상대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

누군가를 만나야 이야기가 되는데 그게 사건.

세번째 의사결정은 상대를 만난 다음에 하는 거.

네번째 팀플레이는 결정한 것을 집행하는 단계는 자기가 다 할 이유가 없음.

마지막 진보는 그러한 과정이 내게 플러스가 되어야 한다는 거.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352 고 노회찬 님의 명복을 빕니다. 1 해안 2018-07-23 2168
1351 목요정모 신촌 만휴로 대체합니다. 1 수원나그네 2016-02-10 2168
1350 출판 크라우드펀딩을 기획했습니다. 8 덴마크달마 2018-06-30 2165
1349 인간의 두뇌에 대한 예술적 묘사 - Self Reflected 3 오리 2017-04-02 2165
1348 생명탈핵실크로드 기부전시회 image 수원나그네 2017-04-03 2164
1347 강호제현께 영문번역을 부탁드립니다~ 1 수원나그네 2019-11-03 2163
1346 구조론 토요 독서모임 후기 image 9 윤:D 2016-10-10 2163
1345 좋은 정책 다원이 2013-04-05 2163
1344 바람이 되자 2 냥모 2016-05-10 2162
1343 구조론과 인생. 3 배태현 2014-06-16 2162
1342 코로나 폭증배후에 일본우익들도 개입되어있을가능성에 대해 3 승민이 2020-03-15 2161
1341 우리나라에서 최초 개발된 소금물(바닷물) 밧데리 수원나그네 2016-07-03 2161
» [관점의 문제] 강의를 듣고. 3 파워구조 2014-07-31 2160
1339 걸레 해안 2017-03-11 2160
1338 낱개 사안별로 따지면 새날당에게 진다 다원이 2012-02-13 2160
1337 언어에 따라 판단이 달라진다 2 챠우 2017-09-25 2159
1336 구조론부흥대성회 - 오세 님의 구조적 심리학 냥모 2014-03-25 2159
1335 순서 2 mrchang 2013-02-06 2159
1334 [스크랩]강대국 싸움에 표적이 되는 한국 홍신 2015-01-27 2158
1333 여기는 팽목항 - 김제동이 남긴 메시지 2 무득 2014-10-06 2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