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949 vote 0 2014.07.23 (18:36:07)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15&articleId=3015895&pageIndex=1


나는 산과 노지를 자주 다녀봐서 안다!! <- 천만에 글쓴이는 산과 노지를 자주 다녀보지 않은 사람입니다. 다녔다 해도 관찰력이 없는 사람입니다. 


깡마른 풀들은.. 작년 가을 것으로 보인다!! <- 작년 가을 풀이 남아있으면 농사는 어떻게 짓죠? 작년 가을에 벼나 보리를 베고 남은 하단부의 그루터기는 5월까지 굳건하게 남아있다가 한 달 사이에 완벽하게 사라집니다. 그렇게 안 되면 아예 농사를 못짓죠. 

변사체에 눌린 풀씨가 햇볕을 못 받아 올해에 발아 자체를 못한 것으로 보인다. <- 전부 올해 난 풀입니다. 딱 보면 모릅니까? 풀밭의 모든 풀들은 모두 올해 새로난 풀이며 작년의 풀은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그게 언제냐 하면 딱 5월에 사라집니다. 겨울에 벼 베고 볏짚을 그냥 논에 뿌려놓는 경우가 많은데 봄까지 남아있다가 갑자기 깨끗하게 사라집니다. 


###


아고라의 원문은 시골에 대해 전혀 모르는 사람이 쓴 글입니다. 그런데 리플들을 보면 농사 지어봤다는 분이 맞장구를 치고 있어요. 이게 확증편향이죠. 


아고라 따위에 잘 나오는 이야기에 이런게 있습니다. 비닐봉지를 뜯은 빵을 놔뒀는데 6개월 동안 곰팡이가 피지 않았다. 얼마나 방부제를 많이 뿌렸기에? <- 장마철에는 하루 안에 곰팡이가 핍니다. 겨울에는 6개월 이상 버티기도 합니다. 즉 누구나 빵에 곰팡이가 잘 피지 않더라는 경험과, 곰팡이가 너무나 잘 피더라는 경험을 동시에 갖고 있는 것이며 확증편향에 따라 필요한 기억을 뇌 안에서 발췌해내는 거지요. 


늘 말하지만 보통사람의 보통판단은 보통 틀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2]락에이지

2014.07.25 (18:44:32)

확증편향의 뜻.. 오늘 또하나 배웠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229
1338 생명탈핵실크로드 소식 6 - 잠 못 이루는 세월 image 수원나그네 2017-10-02 2062
1337 죽음의 이해 김동렬 2017-09-29 3134
1336 참새도 오리만큼 커질까? 김동렬 2017-09-21 2890
1335 에너지 유도와 리더의 도출. 2 systema 2017-09-20 2376
1334 에너지로 조직을 통제하는 방법에 대해. 5 systema 2017-09-17 2671
1333 인간은 왜 이동하는가? 김동렬 2017-09-15 3189
1332 역학과 미학에서 소통지능으로 2 systema 2017-09-14 2263
1331 게잡아보세. 1 김동렬 2017-09-14 2192
1330 생명탈핵실크로드 소식 5 - 야마구치, 그 지구촌 이야기 image 수원나그네 2017-09-09 1965
1329 불佛은 붓이었다. 2 김동렬 2017-08-28 3462
1328 [제민] 개인주의와 공동체의 조화 image ahmoo 2017-08-22 2726
1327 공간에서 시간으로 3 systema 2017-08-20 2816
1326 생명탈핵실크로드 소식 4 - 베트남을 걸으며 image 7 수원나그네 2017-08-18 2745
1325 흑인이 백인처럼 문명을 발달시키지 못한 이유 10 김동렬 2017-08-14 8707
1324 과학 속의 비과학 김동렬 2017-08-09 2934
1323 전체와 부분. 1 systema 2017-08-04 2478
1322 어원연구의 재미 김동렬 2017-08-02 3190
1321 마케팅 사례의 구조론적 풀이 image 1 systema 2017-07-28 3793
1320 사건이냐 사물이냐 김동렬 2017-07-13 3438
1319 벤허의 수수께끼 image 김동렬 2017-07-13 4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