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109 vote 0 2014.05.20 (21:48:46)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39462


다운폴.. 히틀러 최후의 기록..


그들은 자신들이 애써 만들어놓은 생산력있는 의사결정구조를 큰 재산으로 여긴다

그 큰 재산을 아낌없이 버려야 하는데도 말이다


묵은 것이 가야 새 것이 오는 데도 말이다.

그들 사이비들에게 교리나 이념이나 사실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엉터리든 말든 의사결정할 수 있다는 의사결정의 생산력을 중요시하는 것이다

그 순간에 호르몬은 분비되고 뇌는 흥분하고 근육은 춤 추기 때문이다.

 

사이비 집단의 교주가 잡혀가고 난 후에도 

잔당들이 계속 사이비 종교를 믿는다는 말은 거짓말이다


그냥 하던 짓을 계속하는 것이다

왜? 그냥 그것을 할 수 있으니까. 어떻든 조직 안에서 의사결정이 되니까


동물농장의 악벽동물 교정전문가 이웅종 아저씨는 어떤 나쁜 버릇을 가진 개도 금방 해결한다

문제는 이웅종 아저씨가 나쁜 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착한 개도 금방 해결한다는 점이다.


떠나버린 주인을 못 잊고 10년간 같은 자리에서 기다리는 개도 금방 해결한다.

주인이 떠나고 난 후 식음을 전폐하고 주인의 헌옷을 지키고 있는 개도 이웅종 아저씨는 금방 해결한다.


개가 주인에 대한 충성심 때문에 떠나지 않는다고?

웃기지 마셔. 개는 그냥 그렇게 하는 거다. 왜? 그게 하던 짓이니깐.


그 충성스런 개에게 다른 목표와 의사결정구조로 대체시켜 주면 된다. 빠른 경우 1분만에 된다.

단 인간은 학습이 느리다. 인간은 대체가 잘 안 된다. 인간은 그냥 그러다가 죽는다. 


히틀러의 추락.. 히틀러가 망상병에 빠져서 

존재하지 않는 사단들을 움직이며 혼자만의 전쟁을 계속했다는 말은 거짓말이다.


히틀러 역시 그냥 하던 짓을 계속한 것이다. 왜냐하면 개니까?

박근혜는 왜 그랬을까? 특별한거 없다. 그냥 하던 짓을 계속한다. 


죽음의 순간에 세월호 선장은 그냥 하던 짓을 계속했다.

고통의 순간에 박근혜 선장은 근야 하던 짓을 계속했다. 


히틀러의 똘짓만이 그 죽음의 공간에 약간의 활기를 불어넣었다.

명예, 체면, 의지, 신념 따위는 모두 거짓말이다.


그냥 하던 짓을 계속한 것이다. 

아무것도 안 하는 넘은 아무것도 안하기를 계속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차우

2014.05.21 (00:55:02)

크리스티안 문주(루마니아 감독, Cristian Mungiu) 감독의 '신의 소녀들'(După dealuri)도 괜찮습니다. 2012년 칸 영화제 각본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고 하는데 길어서 좀 지루한 부분이 있지만 종교에 대한 서양인들의 시선과 이에 따른 인간 행동을 엿볼 수 있는 영화입니다.

[레벨:5]msc

2014.05.21 (08:46:28)

글,,,,감사합니다,

[레벨:2]지리산인

2014.05.21 (10:35:04)

저는 시골에 내려와 산지 10년쯤 되었습니다.

여기서 만나는 젊은 사람들을 보면

 

이곳에서 자라고 다른 곳을 가보지 않은

사람들중에 그런 류의 사람들이 많습니다.

 

방향이 잘못되었다고 해도 하던일을 반복하면서

계속 그 일의 당위성만을 이야기 합니다.

 

답답한데 어찌 할 방법이 없습니다.

새로운 결정을 하지 못하고 그동안 해왔던 방식만을 고수 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14.05.21 (11:48:28)

이웅종 아저씨가 초등학교에 필요하다.

저학년 문제의 절반정도는 해결할 것.

 

프로필 이미지 [레벨:3]형비

2014.05.21 (11:56:44)

이제 나이 사십이 가까워 오면서 어렸을땐 미처 눈치 못채던 사회속의 사람들(물론 나를 포함하겠지요)의 행동의 독특함_비합리적, 모순적이고 일방적인 모습들을 여기와서야 이해되고 설명되네요.

막연히 느껴왔지만 설명하지 못한 것이 동렬님의 명쾌한 글을 통해 풀어지네요.

가슴이 시원해 지는 느낌

그런데 나는 잘 살고 있는지.. 여전히 복잡한 문제들과 나의 이익 추구(나쁜 의미의 이익이 아니라 내가 살기 위해 필요한 자원과 권리, 권력) 그리고 사회속에서 개인이 갖는 무력감이랄까요

이 모든게 팽팽한 긴장속에 잘 작동하는 시스템은 만들 수 있을까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4.05.21 (13:12:31)

배후지가 충분해야합니다.

남북통일, 시베리아 진출, 몽골과 국가연합 등 

물리적으로 계속 외부로 뻗어가야 가능합니다.

고립되면 답없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586
2170 안녕하세요 강도혁입니다 1 강도 2005-10-30 10820
2169 김동렬님께 강도 2005-11-29 11719
2168 김동렬님..이 사이트의 글 좀 읽어주십시요. 1 날다 2005-12-19 10123
2167 가족 혹은 우리의 결혼제도에 대한 의견... 1 강도 2006-01-17 9009
2166 동렬님께... 3 kkh 2006-01-24 8956
2165 '차길진' 이라는 재미있는 사람이 있더라구요 1 송파노을 2006-02-22 12703
2164 동렬님 1 송파노을 2006-02-22 8212
2163 대중의 한계와 인터넷 2 송파노을 2006-02-27 7496
2162 즐거움이 없는 베품이랄까? 3 프로메테우스 2006-02-27 7752
2161 문명과 대중 그리고 지식 송파노을 2006-03-01 9298
2160 [re] 문명과 대중 그리고 지식 1 김동렬 2006-03-01 8575
2159 문명과 지식 1 김동렬 2006-03-02 8216
2158 고수와 하수 김동렬 2006-03-02 9936
2157 굿을 어떻게 이해할수 있을까요? 1 프로메테우스 2006-03-19 9272
2156 질문있습니다 ^^ 강도 2006-05-06 8779
2155 [re] 질문있습니다 ^^ 2 김동렬 2006-05-06 8681
2154 전기로 물을 염색해보려고 해요... 강도 2006-05-17 9274
2153 [re] 전기로 물을 염색해보려고 해요... 1 김동렬 2006-05-17 9219
2152 욕망을 혁명하기 6 강도 2006-06-05 8959
2151 구조론 부적응 1 아티스 2007-11-18 5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