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3367.JPG


    페북에 있는 것인데 그림이 작아서 사이즈를 키워보았습니다. 순서가 맞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레벨:3]시원

2014.03.18 (13:35:31)

올해 노벨물리학상은 앨런 구스?

[레벨:6]sus4

2014.03.18 (13:58:49)

인플레이션 팽창 이론이군요. 

TV에서 정규방송이 끝났을 때 나오는 흰색 모래알갱이들 중 140억년 전의 우주배경복사가 1% 정도 섞여있다고 합니다.


빅뱅의 극초반부에는 상상할 수 없을만큼 거대한 질량이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작은 영역에 모여있었고, 따라서 미시세계를 다루는 양자역학을 적용시켜볼 수 있는데, 그 계산에 따른 온도분포와 실제 관측된 우주의 온도분포가 거의 정확하게 일치했다고 합니다. 물론 위 글대로 온도는 우주 전 지역에 걸쳐서 거의 균일하기는 합니다만 여기서는 아주 미세한 차이를 측정한 경우를 말하는 것입니다. 양자역학적 확률거품이 빅뱅에 의해 전우주적 영역으로 확장되어 버린 것입니다. 정말 신기한 결과가 아닐 수 없겠습니다. 과학자들이 양자역학을 신봉하는 이유를 알 수 있겠더군요. 뜻도 의미도 잘 모르겠지만 어쨌든 이 세계는 양자역학의 계산과 정확히 일치하니까요 .

[레벨:3]시원

2014.03.18 (14:19:46)

“ 빅뱅의 극초반부에 상상할 수 없을 만큼 거대한 질량이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작은 영역에 모여....”



이상하지 않나요? 질량은 나중의 일이지 않나요?


플랑크 길이 안에 단, 1킬로그램의 어떤 물체를 넣는다면? 엄청난 밀도이겠지요?

[레벨:6]sus4

2014.03.18 (14:42:18)

전공자이신가요?

저한테 뭘 물어보시는지는 잘 모르겠는데요. 질량이 그 이후에 생겼다는 말씀이시죠. 

제가 정확한 사실관계는 좀 틀렸을 수가 있습니다.


단지 빅뱅에 양자역학을 도입했더니 관측치와 계산치가 정확히 일치하더라라는 사실은 제대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레벨:6]sus4

2014.03.18 (14:04:38)

또한 별 상관 없어보이지만 최근 읽은 충격적인 이야기...

빛보다 빠른 물질이 없다할 뿐이지 빛보다 빠른 팽창은 있을 수 있다고 하더군요.


공간이 빛보다 빠르게 팽창한다면? 빛보다 빠른 신호는 있을 수가 없으므로 완전히 단절된 여러 개의 우주, 혹은 무한히 많은 우주를 생각해볼 수가 있게 된다고 합니다.

[레벨:10]다원이

2014.03.18 (20:51:01)

움직임이 있어야한다. 의미있는 인터뷰 내용을 인용합니다.
----------------/--------------
온: 정지한 물체에서는 중력파가 나오지 않습니까?

강: 그렇지요. 전하가 가속운동을 할 때에 전자기파가 나오듯이, 마찬가지로 정적인 상태에서는 시공간의 휘어짐도 정지된 것이므로 중력파는 나오지 않습니다. 물질의 분포가 변화할 때, 즉 중력이 변화할 때에 시공간의 휘어짐에 변화가 생기고 중력파가 생기는 것이지요.

온: 등속운동 때에도 중력파가 나오지 않는다는 말씀?

강: 전자도 등속운동을 한다면 그 때에는 전자기파가 발생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808
1157 다섯 개의 질문 6 김동렬 2011-11-28 3673
1156 생각의 정석 17회 2 오세 2013-11-21 3671
1155 내가 나가수를 보는 법 image 3 Beholder 2011-07-05 3670
1154 [제민포럼] 당신은 반드시 실패한다 2 ahmoo 2015-12-10 3653
1153 모계사회 3 눈내리는 마을 2014-08-22 3653
» 중력파의 발견과 인플레이션 이론의 증명 image 6 김동렬 2014-03-18 3647
1151 인간의 뇌는 장식용이다. image 김동렬 2016-10-31 3644
1150 가치는 어디에 있는가? image 10 김동렬 2013-01-12 3643
1149 구조론 사이트 옛글을 돌아보다 -끝까지 가보기- 5 오세 2015-09-22 3642
1148 자동차와 컴퓨터 image 7 김동렬 2014-04-14 3641
1147 이런건 창의가 아니다 김동렬 2016-10-04 3637
1146 동물의 행복 1 김동렬 2016-07-20 3635
1145 잠재적 전쟁상태 현대의 종교 눈내리는 마을 2013-03-21 3634
1144 머신러닝과 구조론 - 1. 지도학습 image 1 이금재. 2021-07-22 3633
1143 군바리와 시다바리 김동렬 2017-07-11 3633
1142 호모 날레디의 등판 김동렬 2017-01-09 3631
1141 현대성이란 무엇인가? 8 김동렬 2013-01-10 3631
1140 생각의 정석 124회 오세 2016-04-24 3629
1139 내일 촛불 따뜻하다. image 2 김동렬 2016-12-02 3628
1138 요지경속에 진짜 1 지여 2011-02-12 3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