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888 vote 0 2013.11.04 (15:06:39)

qa1.JPG qa2.JPG


qa3.JPG


도대체 몇 턴을 하려는 거야?

청해성 시닝에서 거얼무 가는 중간.


나란히 가는 고속도로(파란선)를 보면 알 수 있듯이 경사가 그리 심하지 않음.



프로필 이미지 [레벨:9]텡그리

2013.11.04 (16:38:06)

지반이 약해서 회피기동하는 중?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차우

2013.11.04 (17:08:07)

기차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그런거 아닐까요?
[레벨:30]솔숲길

2013.11.04 (17:25:28)

1002922_582633018451500_410284545_n.jpg


열차를 워낙 많이 매달고 가서라네요. 

엔진칸만 세 대..


페북펌

첨부
[레벨:6]Nomad

2013.11.04 (17:23:23)

구조변경을 빙자한 예산 낭비일까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11.04 (17:26:06)

중국 서쪽 끝 청해에서 거얼무까지 800킬로

거얼무에서 티벳 라싸까지 1200킬로를 뚫었는데 그 중간 지역에 사는 사람 숫자는 20만명쯤?

비용은 대략 10조원쯤? (50년간 투자총액은 1300조)


거기 사는 인구 총합이 150만..

중국의 화폐가치를 감안하면 인구 1명당 우리돈 1억씩 나눠줄 수 있는 돈으로


청장철로라는 2000킬로짜리 긴 창을 만들어 티벳을 찌른 거.

구불구불 돌아가는 또아리굴이나 스위치백은 우리나라에도 있는데


저기에 반복되는 8번의 또아리는 기차승객 겁주려고

티벳의 맛을 보여주겠어.. 이런 걸로 봅니다.


설계를 잘 하면 그닥 필요없다고 보오.

강바닥에 폭포와 협곡이 없는 걸로 보아 고도차 200미터 정도 올리려고 저짓한듯.

프로필 이미지 [레벨:7]風骨

2013.11.04 (17:43:58)

코레일의 경우 철도 구배율을 30퍼밀(1Km 당 고저차 30m)로 잡고 있습니다.

 

낙후된 중국 서부 철도 환경에서는 200미터를 올리기 위해

 

8번을 꽈야 할 이유가 충분하다고 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11.04 (18:10:00)

직선으로 총 16키로 구간입니다.

주변은 고도차가 그다지 없는 평탄한 대지구요. 

전혀 그럴 이유가 없죠. 단순히 철로설계를 잘못한 겁니다.

총연장 2000킬로 중에 이와 비슷한 구간이 전혀 없거든요. 

사진을 보면 또아리가 특정지점에만 밀집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근데 바로 그 지점에 고도차가 많지 않다는 거지요. 

직선으로 가도16킬로 가는 동안 500미터를 올릴 수 있습니다.

근데 또아리 8개를 추가하면 파이를 감안할때 거리가 두 배로 늘어납니다.

즉 16킬로 가면 되는데 30킬로를 가는 거에요. 

30킬로를 간다면 900미터를 올릴 수 있습니다.

근데 주변 지형이 대략 200미터 이하 고도차로 보이깐.

실제로는 재봐야 알겠지만.

프로필 이미지 [레벨:7]風骨

2013.11.04 (18:29:31)

음 생각해보니 그렇네요.

 

중국에도 이명박 같은 이가 있어서

 

토건족들하고 짜고 건설비를 착복했거나

(건설 단가가 높아질 수록 브로커가 먹는 돈이 많아짐)

 

산악지대에 철도를 건설했다는 전시용 사진이 필요했거나

 

하는 이유가 아니고서는 설명이 되지 않군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7]風骨

2013.11.04 (17:28:35)

자동차와 달리 열차는 쇠로 된 레일에 쇠로 된 바퀴가 맞물려 가기 때문에

 

경사가 심한곳을 지나면 바퀴가 헛도는 공전현상이 일어나고 또한 미끄러지도 쉽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여러가지 아이디어들이 고안되었는데

 

현재 가장 대세가 된 방안은 환형궤도(環形軌道)라고 하는 똬리굴 방식 입니다.

 

사진의 경우도 전형적인 환형궤도 입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ttp://en.wikipedia.org/wiki/Spiral_(railway)에 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風骨

2013.11.04 (17:30:50)

거얼무는 원래 티베트 땅으로 티베트인이 많이 거주 하고 있습니다.

이를 중국측에서 행정구역 개편을 하면서 강제로 칭하이성에 편입시켰습니다.

 

경제적인 면에서는 효율이 없지만

티베트족 탄압이라는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편이기 때문에

무리를 해서라도 건설할 필요가 있었다고 봅니다.

 

또한 중국 서부의 철도에서 출력이 낮은 기관차도 많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 중국철로의 수수께끼 image 10 김동렬 2013-11-04 3888
1031 자연과 숫자에 관한 동영상 4 노랑고구마 2010-03-24 3891
1030 공무원 활용 image 6 곱슬이 2012-04-25 3891
1029 대학생 죽인 마의 도로 image 김동렬 2011-08-07 3892
1028 핀란드식 사회주의 image 11 카르마 2011-12-22 3892
1027 레버넌트~! image 7 아나키 2016-01-27 3892
1026 18대 대선, 공포가 혐오를 이기다. 12 현운 홍승덕 2012-12-22 3893
1025 손석희와 진보? 5 아란도 2013-05-10 3895
1024 자람의 빨간 고양이는 어디에? 1 오세 2008-12-20 3898
1023 세종시와 지자체 선거 스타더스트 2010-01-08 3899
1022 네이버의 다카키 마사오 감추기 image 조영민 2012-12-05 3899
1021 노무현 대통령의 예언[동영상] 2 양을 쫓는 모험 2010-04-27 3900
1020 승진재앙, 승진은 해고다. ░담 2011-03-19 3900
1019 칼의 노래... image 최호석 2010-12-01 3901
1018 영단어 암기용 전자사전이 있네요. image 5 오리 2011-03-25 3901
1017 SOUR / 日々の音色 (Hibi no Neiro) MV 1 양을 쫓는 모험 2010-03-09 3902
1016 시간에 대하여 4 상동 2013-08-01 3904
1015 *후불제 민주주의* 와 유시민 (나그네에서 사랑으로 변경신고) 사랑 2009-03-10 3905
1014 자전거 타는 로봇 13 오리 2012-01-15 3905
1013 역사를 기록하는 김동렬님에게 진심으로 존경을 보냅니다. 2 별바다 2009-06-05 3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