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385 vote 0 2013.06.06 (00:41:58)

물 위에 보트가 한 척 있소.

보트를 좀 타는 사람이(양쪽에 노가 있고 앉아서 젓는 보트)


자연스럽게 노를 젓는다면 노를 당겨서 저을까요 아니면 밀어서 저을까요? 

(한국식 톱은 당기는 톱이고 서양식 톱은 미는 톱입니다.)


1) 당긴다

2) 민다.


노를 당기거나 민다면 그 이유는?

만약 노를 당기면(밀면) 보트는 앞으로 갈까요 아니면 뒤로 갈까요? 


이런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양자세계가 우리의 직관과 맞지 않다고 여기는 사람은 

현장 일을 안 해본 사람이라는 것을 말하기 위함이오.


양자세계는 일상적인 경험이나 직관과 맞소.

위치는 노를 젓는 사람의 위치고 운동량은 팔의 움직임입니다. 


양자세계의 중첩현상은 간단히 엔트로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빛은 색깔을 만들 수 있지만 색은 빛을 만들 수 없습니다.


엔트로피의 비가역성 때문입니다.

질은 양을 만들 수 있지만 양은 질을 만들 수 없습니다.


양질전환은 자연계에 관측된 바 없습니다.

불완전한 반존재이기 때문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3.06.06 (18:07:47)

댓글 일빠...^^


흠.... 노를 먼저 내 몸통쪽으로 잡아 당기고 나서 노를 다시 밀것 같은데....
밀면 앞으로 전진 할것 같은데...

먼저 노와 내가 하나가 되어야 방향이 결정 되어 앞으로 나갈 것 같기는 한데....

ㅎ~^^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6.07 (10:21:31)

밀면 상체의 함 밖에 못 씁니다.

[레벨:30]스마일

2013.06.06 (19:51:00)

1) 당긴다.

 

어렸을 때 논밭에서 썰매 탄 경험에 의해서,

사람의 몸을 축으로 팔을 날개로 해서 노를 당겨야 축이 앞으로 나아가기 때문에 .

팔을 밀어서 앞으로 나아간 적은 없는 것 같음.

 

톱질을 할 때에도 당길 때는 팔을 사람쪽으로 수축해서 힘을 쓰고

밀때는 팔을 이환해서

다음 수축할 힘을 준비하고.........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6.07 (10:22:42)

당기면 배는 뒤로 갑니다.

[레벨:30]솔숲길

2013.06.07 (11:41:35)

당기다 밀다가 헷갈리오. 


1) 노를 당기면서 물을 밀면 배는 뒤로 가오. 


http://pann.nate.com/video/217365058





2) 노를 당기면서 물을 당기면 배는 앞으로 가오. 


http://pann.nate.com/video/201185348




3) 노를  밀면서 물을 당기면 배는 앞으로 가오. 


http://pann.nate.com/video/218984933


발로 누워서 미는구려. 




4) 노를 밀든 당기든 배는 앞으로 가오. 


http://pann.nate.com/video/200651399


한국식 노젓기오. 배꼬리에 노가 있어 물고기 꼬리 흔들 듯이 밀든 당기든 앞으로 가오. 



3번이 배 좀 타본 고수 같소. 

보통 사람이라면 1번처럼 할것 같소. 

노를 당기면서 뒤로 누워야 힘을 쓸 수 있을 것 같소.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6.07 (22:58:51)

자동차는 핸들을 꺾는 방향으로 차가 움직이지만

배는 돛이든 노든 타든 모두 반대로 갑니다.(예외 있지만 논외)


노를 밀면 상체의 힘 밖에 사용할 수 없고(서서 젓는 경우는 논외)

노를 당기면 하체의 힘까지 쓸 수 있습니다.

 

노를 당기는게 정석이지만 배가 뒤로 갑니다.

조정경기처럼 키잡이가 별도로 필요한 거죠.

 

노잡이의 위치를 특정하면 상체를 쓰는지 하체를 쓰는지 알 수 없고

반대로 상하체를 특정하면 노잡이의 위치를 알 수 없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330
2030 IDC 사태와 닫힌계 레인3 2022-10-16 2756
2029 지식과 권력 systema 2022-10-15 2611
2028 80년대-90년대-2000년대-2010-20년대 한국사회 dksnow 2022-10-14 2641
2027 지금 우리 교육은 모순의 시대 3 이상우 2022-10-12 2563
2026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2-10-06 2852
2025 한국에서 사이비가 판을 치는 이유 dksnow 2022-10-04 2831
2024 2022년도 세계 상황 2 dksnow 2022-09-29 3173
2023 페트로 달러,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군사협력협정, BRICS 기축통화, 러시아-인도 남북수송회랑 1 mowl 2022-09-27 2948
2022 완벽한 설명 이상우 2022-09-23 3267
2021 사람이 귀하다. systema 2022-09-23 2990
2020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2-09-22 2519
2019 아인슈타인의 절대성이 문제 chow 2022-09-19 2584
2018 아인슈타인도 이해 못 한 상대성이론 1 chow 2022-09-17 2865
2017 엇박자 경제대응 1 SimplyRed 2022-09-15 2804
2016 양자컴퓨터 chow 2022-09-10 3293
2015 입자세계의 파동현상 image chow 2022-09-09 3697
2014 중간 점검 dksnow 2022-09-09 3103
2013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2-09-08 3070
2012 지성주의의 길 systema 2022-09-02 3651
2011 폭락전야 image dksnow 2022-08-31 4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