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393 vote 0 2013.06.06 (00:41:58)

물 위에 보트가 한 척 있소.

보트를 좀 타는 사람이(양쪽에 노가 있고 앉아서 젓는 보트)


자연스럽게 노를 젓는다면 노를 당겨서 저을까요 아니면 밀어서 저을까요? 

(한국식 톱은 당기는 톱이고 서양식 톱은 미는 톱입니다.)


1) 당긴다

2) 민다.


노를 당기거나 민다면 그 이유는?

만약 노를 당기면(밀면) 보트는 앞으로 갈까요 아니면 뒤로 갈까요? 


이런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양자세계가 우리의 직관과 맞지 않다고 여기는 사람은 

현장 일을 안 해본 사람이라는 것을 말하기 위함이오.


양자세계는 일상적인 경험이나 직관과 맞소.

위치는 노를 젓는 사람의 위치고 운동량은 팔의 움직임입니다. 


양자세계의 중첩현상은 간단히 엔트로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빛은 색깔을 만들 수 있지만 색은 빛을 만들 수 없습니다.


엔트로피의 비가역성 때문입니다.

질은 양을 만들 수 있지만 양은 질을 만들 수 없습니다.


양질전환은 자연계에 관측된 바 없습니다.

불완전한 반존재이기 때문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3.06.06 (18:07:47)

댓글 일빠...^^


흠.... 노를 먼저 내 몸통쪽으로 잡아 당기고 나서 노를 다시 밀것 같은데....
밀면 앞으로 전진 할것 같은데...

먼저 노와 내가 하나가 되어야 방향이 결정 되어 앞으로 나갈 것 같기는 한데....

ㅎ~^^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6.07 (10:21:31)

밀면 상체의 함 밖에 못 씁니다.

[레벨:30]스마일

2013.06.06 (19:51:00)

1) 당긴다.

 

어렸을 때 논밭에서 썰매 탄 경험에 의해서,

사람의 몸을 축으로 팔을 날개로 해서 노를 당겨야 축이 앞으로 나아가기 때문에 .

팔을 밀어서 앞으로 나아간 적은 없는 것 같음.

 

톱질을 할 때에도 당길 때는 팔을 사람쪽으로 수축해서 힘을 쓰고

밀때는 팔을 이환해서

다음 수축할 힘을 준비하고.........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6.07 (10:22:42)

당기면 배는 뒤로 갑니다.

[레벨:30]솔숲길

2013.06.07 (11:41:35)

당기다 밀다가 헷갈리오. 


1) 노를 당기면서 물을 밀면 배는 뒤로 가오. 


http://pann.nate.com/video/217365058





2) 노를 당기면서 물을 당기면 배는 앞으로 가오. 


http://pann.nate.com/video/201185348




3) 노를  밀면서 물을 당기면 배는 앞으로 가오. 


http://pann.nate.com/video/218984933


발로 누워서 미는구려. 




4) 노를 밀든 당기든 배는 앞으로 가오. 


http://pann.nate.com/video/200651399


한국식 노젓기오. 배꼬리에 노가 있어 물고기 꼬리 흔들 듯이 밀든 당기든 앞으로 가오. 



3번이 배 좀 타본 고수 같소. 

보통 사람이라면 1번처럼 할것 같소. 

노를 당기면서 뒤로 누워야 힘을 쓸 수 있을 것 같소.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6.07 (22:58:51)

자동차는 핸들을 꺾는 방향으로 차가 움직이지만

배는 돛이든 노든 타든 모두 반대로 갑니다.(예외 있지만 논외)


노를 밀면 상체의 힘 밖에 사용할 수 없고(서서 젓는 경우는 논외)

노를 당기면 하체의 힘까지 쓸 수 있습니다.

 

노를 당기는게 정석이지만 배가 뒤로 갑니다.

조정경기처럼 키잡이가 별도로 필요한 거죠.

 

노잡이의 위치를 특정하면 상체를 쓰는지 하체를 쓰는지 알 수 없고

반대로 상하체를 특정하면 노잡이의 위치를 알 수 없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063
632 신형 모닝 디자인 해부 image 6 김동렬 2011-01-04 4617
631 <상상력>에 대한 질문입니다. 3 마법사 2009-07-13 4618
630 원시 언어는 존재한다. 1 오세 2012-03-11 4619
629 질문합니다. 4 도플솔드너 2009-01-03 4629
628 경쟁에 반대한다 3편: 죽음의 사다리를 걷어치워라! image 5 오세 2011-04-06 4630
627 이것이 불편한 진실 image 7 김동렬 2013-09-30 4633
626 구조분석의 문제. 2 김동렬 2009-01-08 4634
625 관계와 소통 완벽정리 1 기준님하 2009-07-21 4637
624 사람들의 화난 표정이 똑같은 이유 김동렬 2014-09-03 4638
623 팔로워 낚시용 유치한 글 7 김동렬 2013-11-07 4642
622 아래 댓글이 넘 길어..... image 20 지여 2011-01-13 4652
621 토론의 차원 7 통나무 2009-07-14 4654
620 전쟁의 기술. 3 오세 2010-04-13 4660
619 야만. 2 오세 2010-02-10 4663
618 1만 5천년 된 언어 image 3 김동렬 2013-05-13 4664
617 프랑스 vs 한국, 갑을&가피 매트릭스 담 |/_ 2013-11-15 4668
616 인간의 진화는 유전자를 잃어버리는 과정? 9 김동렬 2011-07-04 4670
615 운명과 자유의지 3 김동렬 2014-01-07 4672
614 김동렬님께 1 읍내리 2009-04-10 4676
613 구조론 옷입히기. 3 아제 2010-02-02 46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