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원문 링크 | http://gujoron.com/xe/333618 |
---|
입자란 첫째 질량이 있는 것이다. 질량이 있다는건 외력이 간섭했을 때 반작용을 한다는 말이다. 광자는 질량이 없다. 그렇다면? 그러나 반사, 회절 등으로 반응한다. 반응하면 입자다. 상호작용을 한다.
무엇인가? 광자가 입자인 것이 아니라, 광자가 전진하므로 입자다. 전진하는 동안만 입자의 성질을 획득한다. 광자는 반드시 움직인다. 움직이는 동안만 입자이며 이는 상호작용계 안에서만 성립한다.
-
21Mar 201318:38
상호작용계
입자란 첫째 질량이 있는 것이다. 질량이 있다는건 외력이 간섭했을 때 반작용을 한다는 말이다. 광자는 질량이 없다. 그렇다면? 그러나 반사, 회절 등으로 반응한다. 반응하면 입자다. 상호작용을 한다. 무엇인가? 광자가 입자인 것이 아니라, 광자가 전진하므로 입자다. 전진하는 동안만 입자의 성질을 획득한다. 광자는 반드시 움직인다. 움직이는 동안만 입자이며 이는 상호작용계 안에서만 성립한다.Category학문/과학 Byahmoo Reply0 -
21Mar 201312:33
수준
연예인들은 겸손해야 한다고 말하는 사람과 연예인은 튀어야 제맛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세상을 바라보는 각도가 다르다. 문제해결지향과 문제생산지향은 애초에 다른 방향을 보고있는 것이다.Category깨달음/종교/삶 By솔숲길 Reply0 -
21Mar 201311:20
인생에서 중요한 것
인생에서 중요한 것은 첫째 자기규정, 둘째 이에 따른 타자규정, 셋째 그 둘의 사이에 대한 규정, 곧 관계규정이다. 그것은 삶이라는 무대에서 자기 포지션을 정하는 일이다.Category깨달음/종교/삶 By솔숲길 Reply1 -
21Mar 201302:50
역사의 진보는 쏘아진 화살
역사의 진보는 쏘아진 화살과 같아서 인위로 멈출 수 없으며 그 화살의 진행방향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오직 혁신과 창의로만 문제의 해결은 가능하다.Category교육 Bywisemo Reply0 -
19Mar 201316:56
구조론 아포리즘을 편집합니다.
구조론연구소 사이트에 쌓인 글과 댓글 자료가 무척 방대합니다. 이 중에 일부는 책으로 만들어내기도 했지만, 너무도 주옥같은 문구들을 그냥 두고 지나치기가 아쉽지 않습니까? 이번 프로젝트는 두 가지 관점에서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첫째는 구조론의 글을 읽어온 독자의 관점에서 마음에 와닿은 내용을 골라 편집하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둘째는 핵심을 담은 짧은 문구를 위주로 편집을 하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이 게시판에는 <구조론, 정치/시사, 미학/디자인, 교육, 학문/과학, 깨달음/종교> 등 여섯 개의 큰 카테고리가 있습니다. 각자 자신이 관심있는 분야에서 꽂혔던 짧은 문구(한두 단락)를 생각날 때마다 찾아서 해당 카테고리에 올려주시면 좋겠습니다. 올릴 때 그 글을 가져온 링크도 등록하시면 됩니다. 물론 책에서 가져오신 경우 책 이름과 페이지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사이트의 검색 기능을 사용해도 좋습니다. 본문이나 댓글 모두 검색 가능합니다. 여기 모인 글들은 다시 가공하고 편집해서 정식 출판을 하거나 앱북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습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Category기타 Byahmoo Reply0 -
20Mar 201316:35
시공간
시간과 공간은 물질 입자들 간 상호작용에 의해 연출된다. 상호작용이 멈추면 시공간은 사라진다.Category학문/과학 By솔숲길 Reply0 -
20Mar 201314:21
정치의 정의
어떤 상황에 직면하여 대응하려면 1을 성립시켜야 하는데 그 1을 이루어 대응하는 과정이 정치입니다.Category정치/시사 By솔숲길 Reply0 -
20Mar 201319:24
집단지능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발명은 인류의 집단지능 그 자체다. 그것은 개인의 가치판단 기능과 집단의 의사결정 구조를 조직의 성장시스템에 태워 일체화 함으로써 독립적인 인격을 획득하여 지식이 스스로의 힘으로 성장하게 하는 것이다. 저절로 돌아가는 지식의 발달 시스템이다. 지식이 또다른 지식을 낳고 증식하는 형태로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점점 커나가는 것이다.Category학문/과학 By길옆 Reply0 -
20Mar 201319:11
신과 친하기
‘신을 믿는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못마땅하다. 왜 ‘믿는다’는 표현을 쓰지? 믿음과 불신은 동전의 양면이다. 그것이 되려 신 앞에서 불경스런 표현이 될 수 있다. ‘믿는다’는 것은 ‘가치판단과 의사결정에 있어서의 권한을 위임한다’는 말이다. ‘너 나를 믿지?’ 하는 말은 내게 맡기고 더 알아보려고 하지 말라는 거다. ‘내가 알아서 할테니까 너는 몰라도 된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신을 믿는 사람은 신에 대해서 더 알아보려고 하지 않는다. 신의 참모습을 알아보려고 하는 행동은 불신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신을 모른다. 그들은 신과 친하지 않다. '너는 빠져도 돼!' 이게 인간소외다.Category깨달음/종교/삶 By길옆 Reply0 -
20Mar 201318:44
존재란 무엇인가?
당신이 간절히 원하는 답변을 해 줄 때 그 답변은 진정 당신의 영혼이 원하는 답변이 아니다.Category깨달음/종교/삶 By스마일 Reply0 -
20Mar 201318:28
인생의 화살
그러므로 나 한 사람, 한 개인 차원에서는 근원의 질문에 대한 답이 나오지 않는다. 왜 사는지, 왜 오늘 하루를 사서 고생하는지 답할 수 없다.Category깨달음/종교/삶 By오리 Reply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