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기똥찬
read 2641 vote 0 2013.02.26 (10:32:38)

요즘 이기는 법 책을 다시 한번 읽어 보다가 갑자기 쓸데없는 궁금증 하나 생겼는데... 아고 제 머리로는...

 

질->입자->힘->운동->량이 있고,

   입구 (축/대칭) 출구 의 그림을 봤는데

 

시공간을 풀어내는 이 둘을 서로 호환시켜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는데... 

 

 즉, (축/대칭)이 입자->힘->운동 포지션으로 호환해보니 판정이라는 기능은 호환되지만 뭔가 호환이 안되는 것이 더 많은것 같고,

       (축/대칭)을 질->입자 포지션으로 호환하면 오히려 잘 호환이 되는 것 같은데... 뒤에 줄줄이 뭔가 남아있는 듯 하고...

 

이 둘의 호환,,, 어떻게 풀어볼 수 있을까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2.26 (11:14:01)

상관없습니다만

예컨대 저울은 대저울과 천칭저울이 있습니다.

 

대저울은 천칭저울의 한 팔을 떼놓은 것입니다.

천칭이 원형이고 대저울은 생략본인데

 

눈썰미가 있는 사람은 대저울에서 생략된 상부구조를 찾을 수 있습니다.

상부구조가 안 보인다는 사람은 천칭을 보면 됩니다.

 

천칭도 매다는 것과 놓는 것이 있는데

놓는 것이 더 원형입니다.

 

축/대칭의 관계는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관계인데 어디로 놓든 상관없습니다.

 

이 관계는 질에 대해 입자와 힘, 입자에 대해 힘과 운동, 힘에 대해 운동과 양으로 나타납니다.

위를 기준점으로 놓고 아래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차례로 힘과 운동과 양을 측정합니다.

이 구조에서 중요한 것은

 

대저울의 경우 상부구조가 감추어져 있는데

대저울로 쌀가마를 달려면 장골 두 사람이 어깨에 목도로 받쳐야 합니다.

 

그게 겉으로는 없지만 실제로는 숨은 형태로 있다는 거지요.

제로 상태에서 처음 저울을 만들고 다음 계량하는 순서로 진행해보면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순서로 복제가 일어나는 과정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시계를 본다가 아니라 만든다는 개념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해시계를 만들려면 정오가 될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그림자가 가장 짧아지는 순간에 그림자 방향을 찍으면 시간을 알 수 있지요.

 

만들어진 구조에 대입하기 보다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본질을 포착하는게 중요합니다.

 

 

[레벨:2]기똥찬

2013.02.26 (11:51:37)

아! 번쩍 하고 이해가 되네요... 축/대칭이 훨씬 근원적인 판단도구로군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3072 아델 그녀의 매력은? 20 까뮈 2013-02-21 3670
3071 간만에 물건이 하나 나왔소!! 3 River 2013-02-22 2663
3070 무식한 질문 3 낙오자 2013-02-22 2925
3069 윤여준 2 아란도 2013-02-22 3395
3068 돌아야 한다. image 10 스마일 2013-02-23 3983
3067 삼풍백화점 붕괴의 순간들 image 1 15門 2013-02-24 4373
3066 앞으로 대화법 연구 방향은 1 이상우 2013-02-25 2282
3065 개고기나 말고기나 5 까뮈 2013-02-25 2699
3064 음악을 시각으로 변환한 인간 9 까뮈 2013-02-25 3001
» 이기는 법 읽다 궁금한 점 하나 2 기똥찬 2013-02-26 2641
3062 무슨 싹일까요? image 3 솔숲길 2013-02-27 2493
3061 스마트폰 거치대 만들기 image 4 김동렬 2013-02-28 7317
3060 남쪽으로 튀어 1 배태현 2013-02-28 2707
3059 우리 사회는 없는 사람은 계속 손해 보며 당하고 살아야 옳은가? 3 노매드 2013-03-01 3188
3058 Welcome to Flatland image 1 오리 2013-03-03 2397
3057 구조론연구소 정기모임 (문래동, 수요일) image 3 냥모 2013-03-04 2689
3056 스트레스 4 낙오자 2013-03-05 2563
3055 주말 모임 개최 4 불그스레(旦) 2013-03-05 4088
3054 동렬님! 이거 좀 봐 주세요. 8 불휘 2013-03-06 5220
3053 한반도 전쟁위기에 대한 의견 부탁합니다.. 6 별돌이 2013-03-06 2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