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록
read 5845 vote 0 2003.03.08 (20:32:38)

일장춘몽이라고 했다. 어차피 인생은 한바탕 봄꿈에 지나지 않는 것이라면, 그 꿈은 클수록 좋다. 과대망상이어도 좋다. 현실에서 이룰 수 있는 것을 꿈에서 얻을 필요는 없다.

혁명도 처음에는 한 사람 가슴 속의 꿈에 지나지 않았다. 그 꿈은 차가운 현실에 부딪혀 좌절되고, 그 삶은 가진 것을 지키려는 사람들에 의해 꺾여지고 만다.

그래도 씨앗은 남는다. 민들레 홀씨처럼 남는다. 삶은 쓰러져도 꿈은 쓰러지지 않는다. 그것은 형체가 없는 것이기에 죽지 않는다. 그 쓰러짐이 클수록 그 퍼져나감 또한 크다.

처음엔 한 사람의 꿈이었던 것이 나중에는 모든 사람의 현실이 된다.

신뢰할 수 있는 사람과는 부부가 될 수 있고, 이상과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과는 친구가 될 수 있다. 신뢰를 필요로 한다는 것은 상대방에게 의존하려 든다는 것이다.

꿈 꾸는 사람을 신뢰할 수는 없다. 그 사람은 쓰러질 것이다. 그 사람은 죽을 것이다. 친구여! 부디 이르노니 꿈 꾸는 사람을 신뢰하지 말라. 꿈 꾸는 사람에 의존하지 말라! 그대는 배반될 것이다.

마주본다는 것은 상대방의 전체와 상대한다는 것이다. 홀로서지 않고 마주볼 수는 없다. 마주보기 위해서는 먼저 홀로서기가 연습되어야 한다. 홀로서지 않고서는 상대방의 전체와 상대할 수 없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191 사기꾼은 신용이 없다. 2003-01-22 8855
190 남자와 여자의 차이 2003-01-24 6369
189 부자가 되는 방법은? 2003-01-27 7753
188 좋은 직업과 나쁜 직업 2003-01-28 7114
187 사랑은 2003-01-29 4994
186 홀로서기와 마주보기 2003-01-30 5879
185 철학자 러셀이 이런 말을 했다는군요. 2003-02-13 5723
184 1, 동양정신의 대안은 무엇인가? 2003-02-14 4861
183 2, 인문학의 위기와 인문학자의 위기 2003-02-14 4959
182 3, 무상정등정각의 바른 시선은 있는가? 2003-02-15 5614
181 4. 고대인들의 말씀의 세계관 2003-02-18 4451
180 김한길 특보의 책에서(펌) 2003-02-20 6012
179 믿음에 대한 세가지 이야기 2003-02-23 4289
178 가시 2003-02-23 5082
177 5 인문학의 목적은 무엇인가? 2003-03-05 6365
176 6. 이상적인 공동체의 비전은 무엇인가? 2003-03-06 5630
175 7. 학문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2003-03-06 4530
» 인생은 한 바탕 봄 꿈 2003-03-08 5845
173 8 한국 성리학의 주류는 일원론이다. 2003-03-14 5135
172 지성이란 무엇인가? 2003-03-18 12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