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록
read 5126 vote 0 2002.09.11 (12:19:49)

신의 의미는 구원에 있다. 구원의 필요는 인간의 비참에 있다. 비참의 이유는 조종당함에 있다. 즉 인간은 자기 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새 가상의 누군가에게 조종당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주로 죽음, 상실, 상심, 이별, 소외의 지점에서 발견된다.

인간의 모든 행동을 규율하는 기본적인 잣대는 자기일관성과 자기정당화다. 곧 인간은 일관된 행동과 정당한 행동을 하려는 지향이 있다. 이러한 일관의 규율과 정당화의 규칙은 예의 죽음, 상실, 상심, 이별, 소외의 지점에서 교란된다.

즉 인간은 죽음, 상실, 상심, 이별, 소외의 지점에서 일관성과 정당성을 획득하지 못하고, 우왕좌왕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든다면 이주일은 죽기 며칠전까지 월드컵을 성원하고 금연운동에 앞장선다. 그건 무의미하다. 죽음이 무로 가져가버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간은 최후의 순간까지 그러한 부질없는 노력을 그만두지 않는다.

문제는 그러한 노력들이 실패한다는 데 있다. 왜냐하면 죽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인간은 비참해진다. 그것은 어색하고 부끄럽고 부자연스럽고 챙피하고 허무하고 쭈뼛쭈뼛한 거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간의 대응은 어리광이다. 인간은 어리광을 부리는 방법으로 그러한 어색함과 부자연스러움과 챙피함의 지점을 우회하려고 한다. 그러한 어리광은 세상에 대한 공격성, 증오, 분노, 홧병, 자학 등으로 나타난다.

여기까지를 정리하면
1. 신의 의미는 구원에 있다.
2. 인간은 구원되어야 한다.
3. 구원되어야 하는 이유는 비참하기 때문이다.
4. 비참은 조종당하기 때문이다.(라디오가 방송국에게)
5. 조종당함은 주로 죽음, 상실, 상심, 이별, 소외의 지점에서 나타난다.
5. 조종당함의 나타탐은 부자연스러운 행동에 있다.
6. 부자연스러움의 노출은 어색함, 챙피함, 허무함, 부끄러워함이다.
7. 부자연스러울 때 인간은 어리광을 부린다.
8. 어리광은 타인에 대한 공격, 증오, 분노, 홧병, 자학 등으로 나타난다.
9. 구원의 의미는 이런 상황을 타개하고 자연스러움을 획득하는데 있다.
10. 방송국에 조종당하는 라디오로서는 결코 자연스러움에 도달할 수 없다.

신은 대단한 것이 아니다. 라디오는 방송국에 의해 규율된다. 라디오는 결코 방송국이 틀지 않는 소리를 내지 못한다. 그대의 발언은 신에 의해 제어된다. 아기의 어리광은 엄마의 시선 안에서 유의미하게 성립한다.

인간의 부자연스러운 행동은 자기도 모르는 새 신 앞에서 어리광을 부리는 태도이다. 그들은 보모의 시선을 끌기 위해 오줌을 싸는 고아소년과 같다. 지금 당신의 행동이 바로 그러하다.

구원은 무엇인가? 자신의 방송을 트는데 있다. 자신의 방송국을 운영하는데 있다. 조종된다면 어떤 경우에도 비참 뿐이다.

비참을 직시하여야 한다. 어리광부리지 말고, 울지 말고, 부끄러워하지 말고, 부자연스런 태도 취하지 말고, 어색해 하지 말고, 쭈뼛거리지 말고. 오줌싸지 말고.

자신의 방송을 틀지 않는 한 그러한 어리광 가득한 부자연스러움에서 벗어날 길은 없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211 내가 누군가요? 2004-04-27 5231
210 메시지와 암호 2003-09-22 5225
209 구조는 효율성이다 2002-12-30 5215
208 아름다움의 근원 2002-10-11 5213
207 어떤 책을 읽을 것인가? 2003-12-24 5204
206 체 게바라는 어떤 이유로 살해되었나? 2004-06-14 5188
205 인생의 승부처가 있다면 2004-07-20 5146
204 닮은 나무 이야기 image 김동렬 2006-10-01 5145
203 공각기동대 2002-09-10 5136
202 8 한국 성리학의 주류는 일원론이다. 2003-03-14 5135
» 신의 의미와 구원의 의미 2002-09-11 5126
200 라즈니시 그리고 진짜와 가짜 2004-06-06 5123
199 매트릭스의 실패에 관하여 2004-04-22 5097
198 나의 세계는 어디까지인가? 2004-08-24 5094
197 조직은 효율성을 추구한다 2002-09-10 5084
196 가시 2003-02-23 5083
195 우연과 필연 2004-06-07 5080
194 인생의 세 친구 2004-03-27 5080
193 깨달음은 소통이다 김동렬 2006-10-05 5072
192 새로운 약속을 위하여 김동렬 2005-09-30 50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