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9420 vote 0 2008.08.25 (20:03:49)


사이즈 문제로 그림이 깨지는데 원본은 구조론 까페에 있습니다.

 

 

모래시계의 잘록한 부분이 하는 역할이 저울의 계량과 같다는 점에 주목하기다.

 

 

 

우주는 거대한 하나의 모래시계다. 그러면서 작은 모래시계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시스템이다. 지구도 모래시계이고 원자도 모래시계이다. 세포가 쌓여 생물을 이루듯이 모래시계가 쌓여 우주라는 시스템을 건축한다.

 

 

 

한국의 전통 대저울은 천칭저울을 뒤집어서 한쪽 날개에 해시계의 긴 스크린을 준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4104
1961 질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9-01-20 14625
1960 편지 보내기 image 김동렬 2009-01-19 12536
1959 이현세의 실패 image 김동렬 2009-01-15 18915
1958 끝까지 가보기(수정) 김동렬 2009-01-15 11392
1957 자람의 성공과 이현세의 실패 image 김동렬 2009-01-14 15752
1956 질을 이해하기 image 김동렬 2009-01-12 14421
1955 구조론 학교 image 김동렬 2009-01-08 12093
1954 세 가지 악독에서 벗어나길 김동렬 2009-01-07 14341
1953 지구 온난화 주범은 우주선? 김동렬 2009-01-06 17777
1952 감을 잡는 훈련 김동렬 2009-01-01 15735
1951 완전성의 과학 구조론 김동렬 2008-12-31 18398
1950 그림을 세팅하기 image 김동렬 2008-12-29 14577
1949 미학은 과학이다 image 김동렬 2008-12-18 15896
1948 이런저런 이야기 김동렬 2008-11-30 15067
1947 화두는 그림이다 image 김동렬 2008-11-29 15055
1946 구조론은 쉽다 김동렬 2008-11-28 15191
1945 구조론 요약 김동렬 2008-11-28 14383
1944 구조론을 쓰고 김동렬 2008-11-26 13202
1943 진정한 사랑은 김동렬 2008-11-17 17175
1942 깨달음은 미학이다 김동렬 2008-11-13 15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