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9391 vote 0 2008.08.25 (20:03:49)


사이즈 문제로 그림이 깨지는데 원본은 구조론 까페에 있습니다.

 

 

모래시계의 잘록한 부분이 하는 역할이 저울의 계량과 같다는 점에 주목하기다.

 

 

 

우주는 거대한 하나의 모래시계다. 그러면서 작은 모래시계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시스템이다. 지구도 모래시계이고 원자도 모래시계이다. 세포가 쌓여 생물을 이루듯이 모래시계가 쌓여 우주라는 시스템을 건축한다.

 

 

 

한국의 전통 대저울은 천칭저울을 뒤집어서 한쪽 날개에 해시계의 긴 스크린을 준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2000 동영상 강의 2 김동렬 2009-06-01 15868
1999 인간의 본성 6 김동렬 2009-05-27 15510
1998 인간 노무현의 운명 10 김동렬 2009-05-25 16750
1997 아래 글에 부연하여.. 김동렬 2009-05-20 15833
1996 퇴계와 구조론 11 김동렬 2009-05-18 13650
1995 예술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9-05-16 16722
1994 구조론에서 현대성으로 김동렬 2009-05-13 14090
1993 구조체의 판정 그림 image 김동렬 2009-05-08 15756
1992 구조체의 판정 1 김동렬 2009-05-08 12967
1991 5월 2일 강의주제 김동렬 2009-05-01 15382
1990 28일 강의 요지 image 김동렬 2009-04-28 12796
1989 당신은 좀 깨져야 한다 4 김동렬 2009-04-23 13066
1988 일본식 담장쌓기 image 4 김동렬 2009-04-15 17406
1987 구조론적 사고방식 3 김동렬 2009-04-14 12157
1986 예술의 발전단계 김동렬 2009-04-06 15309
1985 자본주의 길들이기 김동렬 2009-04-05 17394
1984 왜 자본은 나쁜가? 5 김동렬 2009-04-02 13853
1983 구조적으로 생각하기 김동렬 2009-03-25 15225
1982 실존이란 무엇인가? 2 김동렬 2009-03-22 15674
1981 존재론과 인식론 2 김동렬 2009-03-20 16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