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달음 이란
read 4680 vote 0 2002.09.09 (15:15:09)

명상가가 무신론적 입장을 취하는가 유신론적 태도를 견지하는
가에 따라 가는 길이 달라진다.

신이 없다면 인간이 신의 역할을 대신한다. 신으로서 무언가를
보여주는 것(도술, 초능력)도 좋지만 인간적 약점을 보여주지
않는 것이 또한 중요한 문제로 된다.

과학이 발달해서 검증이 이루어지므로 신 혹은 초인으로서의
여러가지들을 보여주기 어렵게 되는 만큼 인간적인 면모를 보
여줄 수 있는 여러가지 들을 감추는 것으로 신성을 근거 삼게
된다.

명상가는 더 많은 여러가지들을 하지 않는 특이한 사람이 된다.

무신론이 위험한 것은 그 때문이다. 명상의 출발점은 신성의 인
정 그 자체여야 한다.

누가 무어래도 신의 역할이 존재하며 또한 부인할 수 없다. 영
적 가치와 인간적 격정들, 프로이드로서도 설명해 낼 수 없는
측면들을 어떻게든 설명해야 한다.

누구도 개념의 신을 부정할 수 있을 뿐 신의 역할 그 자체를
부인할 수는 없다.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이며 문명 역시 불완전
한 존재이고 자연 역시 그러하기 때문이다.

어떤 역할이 존재한다면 어떤 그것 또한 반드시 존재한다.

부인할 수 없는 신의 역할이 존재하므로 신이 존재하고 그 신
의 역할을 인간이 수용하는 방식으로서의 명상이 존재한다.

모름지기 깨달을 일이다.

남북정상이 만나고 있는 날에 부쳐 김동렬 올림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46 2. 『방법(方法)적 사유(思惟)』 2003-02-19 4751
45 3.『최선을 위한 다섯 가지 준비사항』 2003-02-19 4519
44 【 심경(心境)에 부딪히다 】 2003-02-20 4433
43 내게 있어서 유일하게 가치있는 목표는 2003-02-20 4991
42 【 청담을 찾아가다 】 2003-02-21 5339
41 믿음에 대한 세가지 이야기들 2003-02-23 3725
40 언어의 지킴이 2003-02-23 3883
39 그대는 숙녀인가? 2003-02-24 5766
38 깨달음에 이르는 바른 길 2003-07-14 5309
37 호연지기를 깨달음 김동렬 2008-12-31 3279
36 언어를 깨달음 김동렬 2008-12-31 2755
35 나는 무엇을 깨달았는가? 김동렬 2008-12-31 3111
34 관계망의 세계관을 깨달음 김동렬 2008-12-31 2457
33 맥락을 깨달음 김동렬 2008-12-31 2876
32 언어의 쓰임새를 깨달음 김동렬 2008-12-31 2292
31 멋을 깨달음 김동렬 2008-12-31 2783
30 미학을 깨달음 김동렬 2008-12-31 2481
29 닮음을 깨닫기 김동렬 2008-12-31 2478
28 사랑을 깨닫기 김동렬 2008-12-31 2718
27 초극을 깨닫기 김동렬 2008-12-31 2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