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6062 vote 0 2006.08.20 (23:22:28)


세상에 말 걸기



내가 바뀌어야 세상이 바뀐다.
내가 바뀐다는 것은 내가 창의한다는 것이다.

창의한다는 것은 내가 세상을 향해 말을 건다는 것이다.
내가 세상을 향해 말을 걸 때 세상도 내게 말을 걸어오는 법이다.

그러므로 완성할 수 있어야 한다.
창의한다는 것은 완성한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내가 하나를 완성할 때 내가 변하고
내가 변할 때 그 울림과 떨림이 전해져 세상이 변한다.


###


창의력은 패턴을 읽는 능력이다.
그것은 첫째 사물의 완전성을 읽는 능력이며

둘째 그것은 완전성에 대한 뜨거운 갈망이며
셋째 그것은 완전한 것과의 신(神)적인 감응이다.

그대 완전한 것을 보았을 때 전율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전율의 쾌감을 기억해내지 않으면 안 된다.

그 쾌감을 무섭도록 갈망하지 않으면 안 된다.
완전과 불완전의 작은 차이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어야 한다.

불완전에 대한 참을 수 없는 안타까움이 있어야 한다.
기어이 그것을 완전하게 만들고야 말겠다는 고집이 있어야 한다.

거기에 선뜻 목숨을 걸어버리는 무모함이 있어야 한다.
그렇게 언제나 준비된 상태로 갈망하고 있어야 한다.

불완전에서 완전으로 건너가게 하는 힘이 창의력이다.
완전하기 위해서는 독립해야 한다.

딸려 있고 빌붙어 있어서는 불완전하다.
무리에서 떨어져나와 가난한 곳에서 새롭게 터를 닦고 집을 짓는다.

그리고 완전에 도달할 때 까지 그 길을 계속 간다.
그렇게 스스로 독립하여 내는 것이 창의하는 것이다.

지극한 완전을 욕망할 때 창의력이 얻어진다.
영적인 오르가즘으로 존재의 완전성과 감응할 때 창의력이 얻어진다.


###


깨달음도 이와 같다.
엉뚱, 기발, 괴짜가 창의력은 아니다.

비교되는 그것은 불완전한 것이다.
진정한 창의는 스스로 완전한 것이며

완전한 것은 무리에서 떨어져 나와 독립된 것이며
독립된 것은 비교되지 않으며 비교되지 않으므로 전혀 엉뚱하지 않다.

진정한 것은 참으로 자연스러운 것이다.
엉뚱, 기발, 괴짜는 무리에서 떨어져 나오지 못한 자의 발버둥이다.

미처 독립하지 못했기 때문에 엉뚱해 보이는 것이다.
스스로 완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연스러움에 도달하지 못한 것이다.

빌 게이츠의 낡은 스웨터는 엉뚱한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것이다.
김기덕 감독의 거침없는 발언은 괴짜가 아니라 자연스러운 것이다.

진정한 것을 알아보지 못하는 범인의 눈에
엉뚱하게 보여질 수도 있을 뿐 엉뚱한 것이 아니다.

괴짜처럼 보여지기도 할 뿐 괴짜는 아니다.
그것은 진지한 것이다.

마침내 일획을 가하여 용의 눈을 마저 그려내는 것이다.
완전성에 도달할 때 까지 마지막 한 걸음을 쉬지 않는 것이다.


###


내가 바뀌어야 세상이 바뀐다.
내가 독립해서 창의할 때 내가 바뀐다.

내가 완전함에 도달할 때 비로소 창의할 수 있다.
내가 무리에서 독립해야지만 미학적 완전성이 포착된다.

그러므로 일단 여기서 저 문을 열고
바깥으로 향한 걸음을 성큼 내딛어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931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5413
1701 핑크 플라맹고의 비극 image 2 김동렬 2019-03-15 3590
1700 사랑은 방해자를 밀어내는 것이다. 1 김동렬 2019-03-15 3590
1699 깨달음이라야 한다 2 김동렬 2018-12-10 3590
1698 기독교의 본질 3 김동렬 2020-06-24 3586
1697 초원사람과 숲사람 1 김동렬 2019-02-28 3585
1696 이기는 힘의 이해 김동렬 2022-08-23 3582
1695 언어가 중요하다. 1 김동렬 2020-06-19 3582
1694 구조론의 기원 김동렬 2018-09-24 3582
1693 엔트로피의 이해 1 김동렬 2023-02-17 3580
1692 진중권 패 이준석 승 3 김동렬 2021-05-29 3580
1691 일본의 몰락 이유 1 김동렬 2020-08-04 3579
1690 밉상이 된 윤석열 1 김동렬 2022-07-15 3578
1689 전략과 전술 김동렬 2021-11-05 3577
1688 사유의 표준촛불 김동렬 2021-10-01 3577
1687 세월호와 비행기 김동렬 2023-05-17 3576
1686 쥴리 볼케이노 대폭발 김동렬 2021-12-01 3576
1685 제논의 궤변 image 1 김동렬 2020-05-22 3574
1684 심리학에서 물리학으로 1 김동렬 2019-10-14 3574
1683 율곡과 퇴계 1 김동렬 2020-07-06 3572
1682 노답자매 배현진중권 1 김동렬 2020-07-15 3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