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7363 vote 0 2006.02.07 (23:59:08)

클래식은 진리의 완전성을 표상하는 즉 신의 질서를 인간이 재현하는 것이다. 팝은 그 방법으로 재현된 신의 질서를 각자에게 되돌려 주는 것이다. 그것은 흔히 무질서로 오인되곤 한다.

그러나 실로 무질서가 아니다. 어쩌면 인간 내부에서 신의 질서와 공명하는 접점을 끌어내는데 성공할 수도 있다.

그렇다. 그것은 하나의 접점이다. 그것은 인상주의다. 그것은 강렬한 하나의 인상이다. 신의 질서와 인간의 열정 사이에 연결고리를 찾는 것이다. 그 고리와 매듭들에서 자기만의 새로운 질서를 창조할 수 있다.

팝의 열기 그 자체가 인간이 찾고자 하는 본질은 아니라는 사실이 중요하다. 그것은 연결의 링크요 끈이요 매듭이다. 참된 의미는 신과의 소통에 있다. 소통하지 않으면 안 된다.

사랑은 그 링크의 고리, 접촉의 지점에서 뿌리가 내리고 싹이 자라서 가지를 쳐서 새로운 질서를 창조할 때 완성된다. 팝은 그 사랑을 완성할 때, 신의 질서와 닮아 있는 자기만의 질서를 완성할 때 새롭게 창조된다.

팝의 열정 그 자체는 하나의 링크에 지나지 않는다. 그것은 위대한 유혹이다. 유혹으로 사랑이 시작될 뿐 유혹으로 사랑이 완성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팝은 휴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다.

그것은 충동이요 자극이다. 인간 내부에 숨은 욕망의 재발견이다. 자기 내부에 자기도 모르게 잠들어 있던 욕망을 찾아서 끌어내는 것이다.

그 지점에서 인간의 사랑은 시작되는 것이며 그 사랑을 기어이 완성시킬 때 얻어진 인간의 질서는 신의 질서와 닮아 있다. 그 방법으로 인간은 신과 소통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444 구조가 싫은 분들께 19 김동렬 2012-06-30 11169
2443 구조론과 수학 image 6 김동렬 2012-06-29 12066
2442 디테일에 대한 오해와 이해 image 3 김동렬 2012-06-26 13824
2441 결 도 리 법 질서 image 2 김동렬 2012-06-24 12085
2440 죽음의 두려움에 대하여 image 8 김동렬 2012-06-22 18645
2439 성장이냐 복지냐? image 11 김동렬 2012-06-19 13214
2438 믿음이란 무엇인가? image 6 김동렬 2012-06-19 15356
2437 미의 기원은 의사결정 원리 image 2 김동렬 2012-06-13 16005
2436 원형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2-06-11 12422
2435 창조론은 없다. image 6 김동렬 2012-06-08 13490
2434 연역적 사고 image 4 김동렬 2012-06-06 18154
2433 존엄이 깨달음이다. image 2 김동렬 2012-06-05 12638
2432 애플의 불편한 진실 image 7 김동렬 2012-06-04 12067
2431 야구가 재미있는 이유 image 7 김동렬 2012-05-25 14660
2430 지적설계론과 구조론 image 6 김동렬 2012-05-23 19264
2429 일편단심의 허실 image 1 김동렬 2012-05-21 15795
2428 상호작용설의 이해 image 김동렬 2012-05-18 12518
2427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 image 3 김동렬 2012-05-15 15342
2426 인과율의 이해 image 4 김동렬 2012-05-15 12768
2425 보편원리 image 1 김동렬 2012-05-14 135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