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6154 vote 0 2006.02.07 (23:59:08)

클래식은 진리의 완전성을 표상하는 즉 신의 질서를 인간이 재현하는 것이다. 팝은 그 방법으로 재현된 신의 질서를 각자에게 되돌려 주는 것이다. 그것은 흔히 무질서로 오인되곤 한다.

그러나 실로 무질서가 아니다. 어쩌면 인간 내부에서 신의 질서와 공명하는 접점을 끌어내는데 성공할 수도 있다.

그렇다. 그것은 하나의 접점이다. 그것은 인상주의다. 그것은 강렬한 하나의 인상이다. 신의 질서와 인간의 열정 사이에 연결고리를 찾는 것이다. 그 고리와 매듭들에서 자기만의 새로운 질서를 창조할 수 있다.

팝의 열기 그 자체가 인간이 찾고자 하는 본질은 아니라는 사실이 중요하다. 그것은 연결의 링크요 끈이요 매듭이다. 참된 의미는 신과의 소통에 있다. 소통하지 않으면 안 된다.

사랑은 그 링크의 고리, 접촉의 지점에서 뿌리가 내리고 싹이 자라서 가지를 쳐서 새로운 질서를 창조할 때 완성된다. 팝은 그 사랑을 완성할 때, 신의 질서와 닮아 있는 자기만의 질서를 완성할 때 새롭게 창조된다.

팝의 열정 그 자체는 하나의 링크에 지나지 않는다. 그것은 위대한 유혹이다. 유혹으로 사랑이 시작될 뿐 유혹으로 사랑이 완성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팝은 휴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다.

그것은 충동이요 자극이다. 인간 내부에 숨은 욕망의 재발견이다. 자기 내부에 자기도 모르게 잠들어 있던 욕망을 찾아서 끌어내는 것이다.

그 지점에서 인간의 사랑은 시작되는 것이며 그 사랑을 기어이 완성시킬 때 얻어진 인간의 질서는 신의 질서와 닮아 있다. 그 방법으로 인간은 신과 소통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89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66
679 지능에 도전하자 김동렬 2022-07-13 2550
678 민주당의 원죄 김동렬 2022-04-05 2546
677 양질전화는 없다 김동렬 2021-12-07 2546
676 한동훈의 윤석열 사냥? 김동렬 2022-05-06 2545
675 구조론과 엔트로피 image 김동렬 2020-12-27 2544
674 무뇌좌파 멸망공식 김동렬 2022-06-21 2542
673 수수께끼 김동렬 2023-09-20 2541
672 열쇠와 자물쇠 김동렬 2022-06-16 2541
671 사유의 법칙들 김동렬 2021-12-09 2540
670 구조의 발견 김동렬 2021-12-02 2540
669 외계인은 없다 김동렬 2022-11-22 2538
668 구조론의 차원개념 김동렬 2020-12-10 2537
667 원론과 공자 합리주의 김동렬 2022-12-26 2535
666 인류의 진화 1 김동렬 2022-10-20 2534
665 창발주의 등판 1 김동렬 2020-08-18 2534
664 하나의 단일자 김동렬 2023-10-02 2531
663 넌센스 정국 2 김동렬 2022-05-22 2531
662 오은영 원리주의 리스크 김동렬 2023-07-21 2530
661 구조론 3분 스피치 김동렬 2023-03-25 2530
660 벤투축구의 수수께끼 김동렬 2022-11-29 2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