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4469 vote 0 2005.08.23 (17:19:09)

본 감독의 퇴장에 부쳐

축구에 대해서는 문외한이지만, 축구를 떠나 대한민국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문외한이라도 한마디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는 기본적으로 ‘욕망의 과잉’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 지금 한국은 너무 욕심을 내고 있다. 거기다가 그 무리한 욕망을 달성하는데 성공한 경험도 있다.

월드컵 진출에 성공했는데도 기뻐하는 사람이 없다면 문제가 있다. 목표달성에 성공한 감독이 퇴진해야 한다면 분명 문제가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상황에서 본 감독은 경질될 수 밖에 없었다고 생각한다.

왜인가? 이미 한국인들은 욕망을 줄일 수 없는 단계까지 도달해 버렸기 때문이다. 본감독의 불행이다. 그에게는 미안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 상황에서 본 감독을 경질한 축구협회의 결정은 옳았다고 본다.

무엇이 문제인가? 첫째는 한국의 축구수준이다. 여기서 착각.. 첫째 세계축구와 한국축구의 격차는 큰가 작은가? 둘째 그 격차는 극복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인가 아니면 원래 극복할 수 없는 성질의 것인가?

필자의 결론은.. 격차는 크다. 그러나 그 격차는 극복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다. 그러나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극복할 수 없다.. 이런 거다.

무엇인가? 한국인들은 본 감독에게 불가능한 임무를 맡긴 것이다. 즉 한국인들은 4강신화에 도취한 나머지 세계 축구와 한국축구의 실력차를 전혀 인정하지 않고 무리한 목표를 내세운 것이다.

그렇다면? 두가지 선택이 있을 수 있다. 첫째 욕망을 줄이는 방법, 일단 독일에 간 것으로 만족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누가 만족하겠는가? 한국인들은 이 방법에 실패했다.

둘째 무리를 해서라도 그 격차를 극복하려고 노력하는 방법, 히딩크 때 그랬듯이 아낌없이 지원하고 장기적인 합숙훈련을 통해 조직력을 극대화하는 방법이다. 동아시아 대회의 중국팀처럼 악착같이 달라붙는 방법이다.

그런데 우리는 본 감독에게 어떻게 했던가? 우리는 착각했던 것이다. 우리의 실력이 충분히 강한 것으로 착각하고 지원은 않은채 목표만 턱없이 높였다.

그러나 이미 화살은 쏘아졌고 월드컵은 임박했다. 이 상황에서 욕망을 줄이는 방법이 불가능하다면 무리를 해서라도 투자를 늘리는 수 밖에 없다. 장기적인 합숙훈련을 통해 어떻게든 성적을 내는 수 밖에 없다.

본감독의 실력을 문제삼는 태도는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는 꼭 이겨야 하는 게임을 잡지 못했다. 명장과 평범한 장수의 차이는 질 게임은 져주더라도 반드시 이겨야 하는 게임은 잡는 거다.

본감독은 반드시 이겨야 하는 게임을 졌기 때문에 명장이라고는 볼 수 없다. 그렇지만 그도 한국팀을 선택하지 않았다면 망신을 당하지 않았을 것인바 그에게 미안한 건 사실이다.

한국은 어쩔 수 없는 나라다. 이왕 이렇게 된 김에 배수진을 치고 투자를 늘려서 최선을 다해보는 수 밖에 없다. 한국인들은 이미 신화에 중독되었다. 그렇다면 또 한번의 신화에 도전할 밖에.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542
1459 속 노무현의 그랜드 디자인 김동렬 2005-10-30 14408
1458 문희상의 사망선고 김동렬 2005-10-27 10165
1457 노무현의 그랜드디자인 김동렬 2005-10-26 13020
1456 박정희 죽음에 박근혜는 책임없나? 김동렬 2005-10-25 15558
1455 재보선 유감 김동렬 2005-10-25 13852
1454 슬픈 진중권들과 카우치들 김동렬 2005-10-24 18425
1453 박근혜는 바보였나? 김동렬 2005-10-24 14413
1452 박근혜는 미국의 간첩인가? 김동렬 2005-10-20 20141
1451 삼성이 승리한 이유. 김동렬 2005-10-19 12839
1450 ‘박근혜 아웃 딴나라 분열’ 김동렬 2005-10-19 13988
1449 정치 어떻게 예측하는가? 김동렬 2005-10-18 12332
1448 조선, 박근혜를 치다 김동렬 2005-10-18 15211
1447 한나라당이 망하는 이유. 김동렬 2005-10-15 14882
1446 나의 슬픔 김동렬 2005-10-15 16335
1445 검사들이 반발하는 이유..! 김동렬 2005-10-15 14434
1444 유시민은 솔직한가? 김동렬 2005-10-13 10997
1443 유시민, 진중권은 대통령께 배우라. 김동렬 2005-10-12 13872
1442 노혜경 대표일꾼의 당선 소식을 반기며 김동렬 2005-10-10 13910
1441 인지혁명은 가능한가? 김동렬 2005-10-06 15062
1440 경향 여론조사의 의미 김동렬 2005-10-05 12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