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4426 vote 0 2005.08.23 (17:19:09)

본 감독의 퇴장에 부쳐

축구에 대해서는 문외한이지만, 축구를 떠나 대한민국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문외한이라도 한마디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는 기본적으로 ‘욕망의 과잉’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 지금 한국은 너무 욕심을 내고 있다. 거기다가 그 무리한 욕망을 달성하는데 성공한 경험도 있다.

월드컵 진출에 성공했는데도 기뻐하는 사람이 없다면 문제가 있다. 목표달성에 성공한 감독이 퇴진해야 한다면 분명 문제가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상황에서 본 감독은 경질될 수 밖에 없었다고 생각한다.

왜인가? 이미 한국인들은 욕망을 줄일 수 없는 단계까지 도달해 버렸기 때문이다. 본감독의 불행이다. 그에게는 미안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 상황에서 본 감독을 경질한 축구협회의 결정은 옳았다고 본다.

무엇이 문제인가? 첫째는 한국의 축구수준이다. 여기서 착각.. 첫째 세계축구와 한국축구의 격차는 큰가 작은가? 둘째 그 격차는 극복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인가 아니면 원래 극복할 수 없는 성질의 것인가?

필자의 결론은.. 격차는 크다. 그러나 그 격차는 극복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다. 그러나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극복할 수 없다.. 이런 거다.

무엇인가? 한국인들은 본 감독에게 불가능한 임무를 맡긴 것이다. 즉 한국인들은 4강신화에 도취한 나머지 세계 축구와 한국축구의 실력차를 전혀 인정하지 않고 무리한 목표를 내세운 것이다.

그렇다면? 두가지 선택이 있을 수 있다. 첫째 욕망을 줄이는 방법, 일단 독일에 간 것으로 만족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누가 만족하겠는가? 한국인들은 이 방법에 실패했다.

둘째 무리를 해서라도 그 격차를 극복하려고 노력하는 방법, 히딩크 때 그랬듯이 아낌없이 지원하고 장기적인 합숙훈련을 통해 조직력을 극대화하는 방법이다. 동아시아 대회의 중국팀처럼 악착같이 달라붙는 방법이다.

그런데 우리는 본 감독에게 어떻게 했던가? 우리는 착각했던 것이다. 우리의 실력이 충분히 강한 것으로 착각하고 지원은 않은채 목표만 턱없이 높였다.

그러나 이미 화살은 쏘아졌고 월드컵은 임박했다. 이 상황에서 욕망을 줄이는 방법이 불가능하다면 무리를 해서라도 투자를 늘리는 수 밖에 없다. 장기적인 합숙훈련을 통해 어떻게든 성적을 내는 수 밖에 없다.

본감독의 실력을 문제삼는 태도는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는 꼭 이겨야 하는 게임을 잡지 못했다. 명장과 평범한 장수의 차이는 질 게임은 져주더라도 반드시 이겨야 하는 게임은 잡는 거다.

본감독은 반드시 이겨야 하는 게임을 졌기 때문에 명장이라고는 볼 수 없다. 그렇지만 그도 한국팀을 선택하지 않았다면 망신을 당하지 않았을 것인바 그에게 미안한 건 사실이다.

한국은 어쩔 수 없는 나라다. 이왕 이렇게 된 김에 배수진을 치고 투자를 늘려서 최선을 다해보는 수 밖에 없다. 한국인들은 이미 신화에 중독되었다. 그렇다면 또 한번의 신화에 도전할 밖에.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4014
6861 지식의 원점 김동렬 2024-05-20 631
6860 신라 마립간은 무엇인가? 2 김동렬 2024-05-14 794
6859 프레임 정치의 야만성 김동렬 2024-05-30 885
6858 지도로갈문왕 수수께끼 image 김동렬 2024-05-20 888
6857 다르마를 따르라 1 김동렬 2024-05-14 901
6856 첫 만남 김동렬 2024-05-16 907
6855 인간의 입장 김동렬 2024-05-26 923
6854 직관론 김동렬 2024-05-08 925
6853 생각인간 김동렬 2024-04-13 928
6852 인류의 차원 도약 김동렬 2024-05-03 930
6851 의사결정 김동렬 2024-05-31 931
6850 프레임을 극복하라 김동렬 2024-05-10 940
6849 마음의 마음 김동렬 2024-03-10 964
6848 착한 아이 콤플렉스의 위험성 image 김동렬 2024-05-26 969
6847 존재 김동렬 2024-04-05 976
6846 지구를 지켜라의 멸망 원인 김동렬 2024-05-20 991
6845 소크라테스 김동렬 2024-05-11 996
6844 구조를 보는 방법 김동렬 2024-03-14 998
6843 물방울이 둥근 이유 김동렬 2024-03-11 999
6842 원효의 깨달음 김동렬 2024-05-22 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