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6722 vote 0 2011.07.19 (13:41:12)

2.jpg

 

인생은 롤러코스터다. 오르막(플러스)과 내리막(마이너스)이 있지만 근본적으로 내리막이다. 플러스+ 마이너스는 제로다. 중간에서의 중복과 혼잡을 제로화 시켜 제거하면 순수한 마이너스가 남는다. 정점에서 출발하여 계속 내려가기만 하는 것이다.

 

스테이션에서 리프트체인을 타고 정점까지 올라가는 것은 플러스가 아니냐고? 그건 자신이 결정하지 않는다. 상부구조의 시스템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그 상부구조 또한 자신의 금전적 지불이라는 마이너스에 의해 작동한다. 공짜는 없다.

 

농부는 봄에 씨앗을 뿌리고 가을에 수확한다. 농부의 파종은 자신이 결정한 것이고 곡물의 성장은 태양이 결정한다. 자신이 결정하는 부분은 언제나 마이너스다. 농부의 곳간에서 씨앗이 빠져나가는 것이다.

 

가게에서 물건을 사더라도 자신의 주머니에서 빠져나간 것이며 대신 자신의 배에 채워진 음식은 식당주인이 결정한 것이다. 식당주인 역시 부엌에서 완성된 요리가 빠져나간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모든 것은 결국 한 방향으로 제어된다는 점이다. 플러스 마이너스 양쪽으로 각각 전개하는 것이 아니라 전부 마이너스 한 방향으로만 전개되는 것이며 플러스는 그것을 상대방이 본 것이다.

 

3.jpg

 

나무의 모든 가지는 태양 하나만을 바라보고 있다. 모두가 한 방향으로만 전개하므로 질서가 유지된다. 세상은 오직 마이너스 하나에 의해 작동하므로 자연의 질서가 성립되고 있다.

 

 4.gif

 

시계 내부가 아무리 복잡해도 태엽으로 입력되고 바늘로 출력된다. 그 사이에서 롤러코스터를 타는 중간과정은 생략된다. 태엽으로 입력된 플러스는 외부에서 결정한 것이고 시계 자신이 결정한 것은 바늘의 출력 곧 마이너스 뿐이다. 

 

모든 플러스는 관점의 이동에 의한 착시다. 누가 결정했는가를 중심으로 판단해야 한다. 운전자 입장에서는 자동차의 기름이 빠져나가는 마이너스다. 지나가는 행인의 관점에서는 없던 차가 들어오더니(플러스) 다시 빠져나간다.(마이너스) 그러나 이 관점은 상쇄되어야 한다.

 

 사건의 기승전결, 원인과 결과, 시작에서 끝, 에너지의 입력에서 출력까지 전모를 보고 판단해야 한다. 부분을 보면 언제나 뒤죽박죽이 된다. 전모를 보면 모두 하나의 마이너스 방향으로 전개함을 알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49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296
4611 메기효과와 역 메기효과 4 김동렬 2019-11-08 3441
4610 구조의 눈 1 김동렬 2019-11-07 2767
4609 구조와 자연 3 김동렬 2019-11-07 2588
4608 구조는 에너지의 구조다. 1 김동렬 2019-11-06 2770
4607 구조의 탄생 1 김동렬 2019-11-05 2853
4606 구조론의 정의 1 김동렬 2019-11-04 3265
4605 에너지의 형태획득 절차 2 김동렬 2019-11-02 3090
4604 다윈의 성선택설은 허구다 3 김동렬 2019-11-02 3381
4603 사건을 재는 수학 구조론 1 김동렬 2019-10-31 4311
4602 사건의 수학 구조론 2 김동렬 2019-10-30 4639
4601 이제는 다윈을 넘어설 때 1 김동렬 2019-10-30 3518
4600 문제는 언어다 1 김동렬 2019-10-29 3122
4599 구조론은 도구다 1 김동렬 2019-10-28 3122
4598 구조론은 정답이 있다 1 김동렬 2019-10-27 2953
4597 모든 문제에 답은 있다. 1 김동렬 2019-10-26 3599
4596 1은 없다. 2 김동렬 2019-10-25 3225
4595 원자와 양자 3 김동렬 2019-10-24 4372
4594 원자론과 구조론 4 김동렬 2019-10-23 4435
4593 에너지는 딱 걸린다 1 김동렬 2019-10-22 3136
4592 부가 편중되는 이유 1 김동렬 2019-10-22 3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