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74 vote 0 2024.05.11 (20:58:25)

   소크라테스는 거리를 돌아다녀 봤지만 현명한 사람을 보지 못했다. 소크라테스가 아고라에 나타나면 사람들은 시선을 피하고 딴전을 피웠다. 소크라테스가 말을 걸어올까봐. 답답한 일이다. 나는 인간들을 관찰해 봤지만 체계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 지식은 체계가 있어야 한다. 인류의 지식은 체계가 없다. 체계는 체 둘을 연결하여 계를 이룬 것이다. system은 쌍sy으로 선다stand는 뜻이다. 이것이 일어서면 저것이 일어선다고 말한 사람은 석가다. 이것과 저것을 연결하여 한꺼번에 움직이게 하는 것은 메커니즘이다. 물레방아는 물레와 방아의 연결이다. 물레가 돌면 방아가 돈다. 시계의 태엽이 풀리면 바늘이 돈다. 베틀의 북이 움직이면 바디가 움직인다. 메커니즘에 에너지를 태우면 시스템이 작동한다. 세상은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사유는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일어난다. 하나를 알면 열을 알게 된다. 하나와 열 사이에 시스템이 있다. 무릇 안다는 것은 근본이 되는 이것을 먼저 알고 거기에 저것을 연결하여 단계적으로 확장해 가는 것이다. 이것에서 저것으로 계속 연결하여 가야 한다. 그러려면 방향성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인간들 봐라. 그들은 객체 중심, 단위 중심, 원소 중심, 원자 중심의 개별적 사고, 분별적 사고에 빠져 있다. 이것을 알려줘도 저것을 모른다. 자동차는 아는데 운전할 줄은 모른다. 그것은 아는게 아니다. 지식의 연결고리를 깨닫지 않으면 안 된다. 수평적 연결을 넘어 수직적 연결로 도약하지 않으면 안 된다.  


  세상에 인간이 이렇게 많은데 이것에서 저것으로 나아가는 인간 하나를 나는 본 적이 없다. 다들 프레임이라는 쥐구멍에 숨어 자신을 방어하고 있다. 슬픈 일이다. 디오게네스가 대낮에 등불을 들고 거리를 헤매이던 이유를 알만하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2478 진리가 있다 image 김동렬 2017-06-27 12337
2477 당신도 작가가 될 수 있다 image 11 김동렬 2012-12-05 12340
2476 완전성에서 출발하라. image 1 김동렬 2011-10-05 12342
2475 구조론 초보자를 위한 image 김동렬 2017-06-19 12343
2474 사건이냐 사물이냐 image 김동렬 2017-07-14 12346
2473 구조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1-01-16 12356
2472 질문하지마라 image 김동렬 2016-12-01 12357
2471 전여옥 인물탐구 부탁합니다 아다리 2002-10-19 12363
2470 야구가 재미있는 이유 image 7 김동렬 2012-05-25 12363
2469 김두수님 글을 읽고 김동렬 2005-04-18 12373
2468 자유가 두려워. image 김동렬 2017-09-24 12377
2467 만남 그리고 결혼 image 8 김동렬 2011-11-08 12378
2466 전여옥과 노블리스 오블리제( 노혜경 ) 김동렬 2003-06-01 12379
2465 성공하는 작품의 공식 image 5 김동렬 2012-01-11 12380
2464 콤플렉스형 인간 완전성형 인간 image 10 김동렬 2012-01-23 12381
2463 일치와 불일치로 보라 image 김동렬 2017-06-16 12381
2462 할 말이 없네요. 김동렬 2005-12-15 12383
2461 이명박은 딱 거기까지 김동렬 2006-03-06 12383
2460 말이 쉽게 나오면 안 된다. image 2 김동렬 2018-01-23 12383
2459 Re..이회창이 된다면 한가지 분명한 것은.. 김동렬 2002-09-27 12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