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91 vote 0 2024.04.16 (15:51:30)

    동력


    우주의 근본 모순이 있다. 그것은 부정의 법칙이다. 마이너스의 원리다. 우주는 나빠지면서 동력을 생산한다. 밸런스의 복원력이다. 세상은 변화하며 모든 변화는 나빠지지만 우리는 이를 역이용할 수 있다. 나빠지는 만큼 좋아지는 타이밍에 편승해야 한다.


    인간은 죽는다. 이는 나빠지는 것이다. 생명은 탄생한다. 이는 좋아지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나빠지면서 부분적으로 좋아진다. 산기슭에 자라는 야생화는 활엽수에 잎이 자라기 전에 일제히 피어난다. 타이밍이 늦어서 잎이 그늘을 만들면 꽃을 피울 수 없다.


    우주의 원리는 나빠지는 것이다. 엔트로피 증대 원리로 설명된다. 좋아지고 나빠진다는 말은 중립적 표현이 아니다. 자연에 좋고 나쁜 것은 없다. 중요한 것은 언제나 한 방향으로 간다는 것이다. 예측할 수 있고 대응할 수 있다. 이길 수 있고 확신할 수 있다.


    운명


    나는 사랑을 믿지 않는다. 대신 운명을 믿는다. 좋은 사람을 만나려면 꾸며야 한다. 그 속에 거짓이 있다. 실패한다. 권력 메커니즘 때문이다. 동물은 수컷끼리 싸워서 하나가 남는다. 선택의 여지를 없앤다. 인간은 상대가 기준을 충족하면 다시 허들을 높인다.


    허들을 낮추면 상대가 흥미를 잃는다. 긍정하려면 부정해야 하는 모순이다. 부정은 세상이 작동하는 원리다. 동물은 동료를 부정한다. 수컷은 다른 수컷을 부정하여 암컷을 얻는다. 사람은 상대를 부정한다. 허들을 높여서 상대가 내 기준에 맞추도록 압박한다.


    사랑은 서로가 허들을 높이는 위태로운 게임이다. 반면 운명은 선택의 여지가 사라진 상태다. 동물은 수컷끼리 경쟁하여 선택의 여지를 제거하지만 인간은 환경의 압박에 의해 선택의 여지가 제거된다. 서로 협력하지 않을 수 없는 상태에 자신을 가두게 된다.


    게임


    인생의 목적은 이기는 것이다. 인생의 목적은 행복이 아니고, 쾌락이 아니고, 성공이 아니다. 인간은 이겨야 한다. 왜냐하면 현재 수렁에 빠져 있기 때문이다. 수렁에서 탈출하는 미션이 주어졌다. 세상은 마이너스다. 가만있으면 죽는 상황에 빠져 있는 것이다.


    행복과 쾌락과 성공은 인간에게 자신이 게임에 빠져 있다는 사실을 깨우쳐 주는 수단에 불과하다. DNA에 새겨진 본능의 프로그램에 의해 인간은 행복과 불행, 쾌락과 고통, 성공과 실패 중에서 선택하려다가 자신이 힘든 게임에 빠져 있다는 사실을 알아챈다.


    인간은 경사로에 위태롭게 서 있는 존재다. 가만있으면 깔때기 속의 구멍으로 굴러떨어진다. 시험에 든 것이다. 의사결정해야 한다. 안으로는 호르몬을 이기고 밖으로는 환경을 이겨야 한다. 좋은 흐름이 돌아왔을 때 타이밍을 맞추어 동료의 손을 잡아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6780
6797 개구리소년 얼어죽은 것이 확실한 듯 김동렬 2002-09-28 20430
6796 베르누이 효과 image 4 김동렬 2010-07-28 20371
6795 인생의 성공 11 김동렬 2011-08-30 20254
6794 유시민/노무현 김동렬 2003-05-22 20183
6793 일의 원리 image 김동렬 2011-10-03 20164
6792 8등신은 미녀 6등신은 ? image 김동렬 2003-06-11 20161
6791 박근혜는 미국의 간첩인가? 김동렬 2005-10-20 20128
6790 차원의 정의 image 김동렬 2011-09-28 20056
6789 “인간쓰레기 박근혜” image 김동렬 2004-12-30 20034
6788 800만원으로 박항서 등쳐먹으려 드는 정몽준 김동렬 2002-09-10 20029
6787 왜 사는가? 7 김동렬 2009-07-31 19888
6786 이현세라는 인간에 대한 환멸 김동렬 2002-12-06 19879
6785 오자병법과 손자병법 김동렬 2011-10-24 19867
6784 해방 50년사를 돌아보며 김동렬 2003-05-15 19859
6783 탑 포지션을 차지하라. image 2 김동렬 2011-08-10 19849
6782 눈치보기 image 김동렬 2003-05-25 19828
6781 Re..위 사진에서 손의 높이는 몇미터쯤? image 김동렬 2002-09-15 19796
6780 된장녀와 한류녀 그리고 왜색녀 김동렬 2006-08-07 19790
6779 손호철, 임지현, 문부식, 진중권들과 변절의 공식 김동렬 2003-06-08 19717
6778 광대역 웹캠 최신버전 김동렬 2003-06-10 19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