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85 vote 0 2024.04.16 (15:51:30)

    동력


    우주의 근본 모순이 있다. 그것은 부정의 법칙이다. 마이너스의 원리다. 우주는 나빠지면서 동력을 생산한다. 밸런스의 복원력이다. 세상은 변화하며 모든 변화는 나빠지지만 우리는 이를 역이용할 수 있다. 나빠지는 만큼 좋아지는 타이밍에 편승해야 한다.


    인간은 죽는다. 이는 나빠지는 것이다. 생명은 탄생한다. 이는 좋아지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나빠지면서 부분적으로 좋아진다. 산기슭에 자라는 야생화는 활엽수에 잎이 자라기 전에 일제히 피어난다. 타이밍이 늦어서 잎이 그늘을 만들면 꽃을 피울 수 없다.


    우주의 원리는 나빠지는 것이다. 엔트로피 증대 원리로 설명된다. 좋아지고 나빠진다는 말은 중립적 표현이 아니다. 자연에 좋고 나쁜 것은 없다. 중요한 것은 언제나 한 방향으로 간다는 것이다. 예측할 수 있고 대응할 수 있다. 이길 수 있고 확신할 수 있다.


    운명


    나는 사랑을 믿지 않는다. 대신 운명을 믿는다. 좋은 사람을 만나려면 꾸며야 한다. 그 속에 거짓이 있다. 실패한다. 권력 메커니즘 때문이다. 동물은 수컷끼리 싸워서 하나가 남는다. 선택의 여지를 없앤다. 인간은 상대가 기준을 충족하면 다시 허들을 높인다.


    허들을 낮추면 상대가 흥미를 잃는다. 긍정하려면 부정해야 하는 모순이다. 부정은 세상이 작동하는 원리다. 동물은 동료를 부정한다. 수컷은 다른 수컷을 부정하여 암컷을 얻는다. 사람은 상대를 부정한다. 허들을 높여서 상대가 내 기준에 맞추도록 압박한다.


    사랑은 서로가 허들을 높이는 위태로운 게임이다. 반면 운명은 선택의 여지가 사라진 상태다. 동물은 수컷끼리 경쟁하여 선택의 여지를 제거하지만 인간은 환경의 압박에 의해 선택의 여지가 제거된다. 서로 협력하지 않을 수 없는 상태에 자신을 가두게 된다.


    게임


    인생의 목적은 이기는 것이다. 인생의 목적은 행복이 아니고, 쾌락이 아니고, 성공이 아니다. 인간은 이겨야 한다. 왜냐하면 현재 수렁에 빠져 있기 때문이다. 수렁에서 탈출하는 미션이 주어졌다. 세상은 마이너스다. 가만있으면 죽는 상황에 빠져 있는 것이다.


    행복과 쾌락과 성공은 인간에게 자신이 게임에 빠져 있다는 사실을 깨우쳐 주는 수단에 불과하다. DNA에 새겨진 본능의 프로그램에 의해 인간은 행복과 불행, 쾌락과 고통, 성공과 실패 중에서 선택하려다가 자신이 힘든 게임에 빠져 있다는 사실을 알아챈다.


    인간은 경사로에 위태롭게 서 있는 존재다. 가만있으면 깔때기 속의 구멍으로 굴러떨어진다. 시험에 든 것이다. 의사결정해야 한다. 안으로는 호르몬을 이기고 밖으로는 환경을 이겨야 한다. 좋은 흐름이 돌아왔을 때 타이밍을 맞추어 동료의 손을 잡아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6027
2514 인간은 왜 자유의지를 추구하는가? 1 김동렬 2019-03-04 3311
2513 마음이 좋더라 2 김동렬 2019-03-05 3754
2512 마음의 마음 2 김동렬 2019-03-07 3359
2511 사랑은 말로 표현할 수 없다 1 김동렬 2019-03-08 4024
2510 우주의 처음을 사색하자 3 김동렬 2019-03-09 3564
2509 나쁜 남자와 나쁜 여자 3 김동렬 2019-03-10 4099
2508 진정한 만족감은 어디서 오는가? 1 김동렬 2019-03-11 3754
2507 인간의 행동에는 이유가 없다 5 김동렬 2019-03-11 3672
2506 정준영은 왜 그랬을까? 2 김동렬 2019-03-12 4609
2505 인간에게 자아가 있는가? 1 김동렬 2019-03-13 4408
2504 프로이드의 욕망 1 김동렬 2019-03-14 4064
2503 사랑은 방해자를 밀어내는 것이다. 1 김동렬 2019-03-15 3514
2502 핑크 플라맹고의 비극 image 2 김동렬 2019-03-15 3510
2501 예수 마르크스 샤르트르 까뮈 3 김동렬 2019-03-17 3714
2500 무심은 유심이다 1 김동렬 2019-03-18 4356
2499 사랑은 척력이다 1 김동렬 2019-03-19 3709
2498 마음의 변화 2 김동렬 2019-03-20 4792
2497 이 순간을 이겨라 2 김동렬 2019-03-22 4297
2496 고통은 없다 2 김동렬 2019-03-24 4209
2495 개겨야 산다 5 김동렬 2019-03-25 3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