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320 vote 0 2023.04.11 (21:39:50)

    세상은 구조다. 구조가 모두 결정한다. 어떤 것은 어떤 성질이 있다. 금과 은과 구리를 가르는 것은 성질이다. 성질을 결정하는 것은? 구조다. 구조는 간격이다. 간격은 둘 사이에 있다. 혼자서는 간격을 만들 수 없다.


    합체했다면 부부다. 키스했다면 커플이다. 악수했다면 동료다. 인사했다면 이웃이다. 가장 깊은 관계는 유전자를 공유하는 부모와 자식의 관계다. 그 외에는 관계가 없다. 관계의 종류는 다섯이다. 다섯 가지 관계만으로 우주 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설명할 수 있다면 멋진 것이다.


    관계는 붙었거나 떨어졌거나 둘 중에 하나다. 연결 아니면 단절이다. 떨어진 채로 닿아있는 것은? 고리처럼 걸려 있는 것은? 서로 공유하는 것은? 에너지로 보면 모두 구분이 된다.


    완전히 포함된 경우.. 가족의 일원과 가족의 관계
    중심을 공유한 경우.. 부모를 공유하는 형제관계
    걸려 있는 경우..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협력관계
    닿아 있는 경우.. 특정한 경우만 협력하는 동료관계
    떨어진 경우.. 외부의 작용에 의해서 연결되는 관계


    수학은 어렵다. 그러나 꼬아놔서 어려운 것이다. 어렵게 만들어서 어려울 뿐 본질은 쉽다. 곱셈은 덧셈을 빠르게 하는 치트키다. 100개를 세어야 한다면 10명이 각자 10개씩 센 다음 더하면 된다. 그것이 곱셈이다. 나눗셈은 분수를 곱한 것이다. 뺄셈은 음수를 더한 것이다. 결국 모든 셈은 덧셈이다. 쉽잖아. 모든 수를 덧셈으로 환원하여 쉽게 만들면 좋잖아. 그것이 구조다.


    수학은 결과측을 보고 원인측을 보면 구조론이다. 이쪽에 더하려면 저쪽에 빼야 한다. 원인의 마이너스가 결과의 플러스다. 원인을 보면 마이너스고 마이너스는 0에 도달하고 0보다 작은 수는 없으므로 거기서 끝난다. 그러므로 간단하다.


    실타래가 아무리 복잡하게 꼬여도 실마리를 찾으면 간단하다. 복잡한 것은 단순한 것으로 환원시키면 된다. 구조다. 하나의 원인이 여러 결과로 나타난다. 하나의 빛이 프리즘을 통과하면 100만 가지 색깔로 나누어진다. 중간에 간섭되어 복잡할 뿐 최초 출발점은 단순하다. 최초 출발점을 보는 것이 구조론이다.


    인간이 궁지에 몰리면 선택은 단순하다. 정상에서는 하산하는 선택만 가능하다. 의사결정의 지점에는 단순하다. 단순화시켜서 단순한 결론을 끌어내는 것이 구조론이다.


    그것은 할 수 있는 것을 한다는 것이다. 미드필더는 전진패스든 백패스든 가능하다. 그러나 골대 앞에서는 슛을 때리는 수밖에 없다. 단순해지는 것이다. 극단에 몰아놓으면 구조가 작동한다.


    인간은 여러 가지 선택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은 권력이 없다. 내가 주도권을 쥐는 선택을 하면 선택지는 감소한다. 극단에 몰리는 것이다. 이때는 내시균형을 따른다. 자극과 반응의 균형점을 따라가는 선택을 한다. 그것은 그저 할 수 있는 것을 하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1702
6366 동기론과 게임론 김동렬 2023-05-12 2258
6365 동학과 의병의 진실 김동렬 2022-06-23 2259
6364 민주당 배신의 정치 김동렬 2022-04-30 2261
6363 공룡의 의미 image 김동렬 2023-03-21 2261
6362 빛은 왜 빠른가? 김동렬 2022-09-26 2262
6361 유통기한 소비기한 김동렬 2022-11-23 2262
6360 인간에 대한 환멸 김동렬 2024-03-02 2262
6359 게임의 구조 김동렬 2023-05-05 2265
6358 본질과 도구 김동렬 2022-04-14 2269
6357 민주주의는 라이플이다 김동렬 2022-05-24 2269
6356 힘의 마술 김동렬 2023-09-13 2270
6355 이기는 힘 김동렬 2024-01-04 2270
6354 강박증과 우울증 1 김동렬 2023-02-06 2272
6353 변화의 세계관 김동렬 2022-12-27 2275
6352 보편원리 김동렬 2022-10-24 2276
6351 호남 가서 약자혐오 이준석 1 김동렬 2024-02-01 2277
6350 마동석 액션 1 김동렬 2022-07-04 2284
6349 시스템적 아이디어 김동렬 2023-04-18 2287
6348 21세기 천동설 김동렬 2023-10-02 2289
6347 구조론의 의미 김동렬 2021-12-20 2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