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우리 지구사회는 아직까지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등의 최신 과학?(1900년대임에도)의 도입이 안되고 있는 듯 하다. 과학이론이 진리의 임시적 정거장인 느낌은 있지만, 아직도 뉴턴역학, 유클리드기하학, 우리 세계에서만 통하는 오차가 있을 수 있는 과학체계에 기반되어 있는 듯 하다. 그이후의 발전은 사회의 앞단에서만 부분적으로만 적용되어 있는 것 같다. 단지 앞단과 뒷단(모든 사람들의 합의는 뒷단일까?)
의 딜레이는 100년이 넘는 과정이 되는가?

도대체 극우유튜브, 괴담유튜브등이 있을 이유가 무언가? 기술과학의 발전에도 그걸 쉽게 이용하는 인류는 아직도 예전의 종교를 버리지 못하고 있다.
종교가 문명의 발전 관점에서 사람들을 묶어 주는 초기도구였지만, 지금은 다른 ‘합리적 종교’가 있어야 하는데, 과학이 그 역할을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드론 무기 및 최신식 무기로 구시대의 종교전쟁을 벌이고 있다; 사실상 말은 붙이기 나름이고, 물리적 힘의 격돌이겠지만

프랑스의 수학자 에바리스트 갈루아에 대해 많이 알지는 못하지만, 어떤 전율을 느꼈다.
기술의 혁신, 과학, 그 앞단의 언어인 수학에 몸을 바치고 싶었지만, 여러 제도적, 정치적, 종교적? 장애물이 그의 삶을 덮쳤고, 그 자신도 사람들의 피로써 제도적 도구를 발전시켜야 하는 절차에 투신하고자 하다가 어처구니없게 죽어버렸다.

헌법, 법률 등도 붙이기 나름인 말인 것이 증명되고 있다.
인간은 사회적동물이다. 이말이 어렸을 적에는 멋있는 말이라고 생각했는데, 요새는 다르게 보인다. 사람들은 진리보다는 권력에 관심이 있다. 나 또한 경쟁자의 맞는 말을 수긍하는 데에는 스트레스를 받는다.
마이클 페러데이, 리제 마이트너, 소피 제르맹, 갈루아 등의 사례에서 보면 학계도 다르진 않더라.

사람은 일용할 권력이 있어야 살 수 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젋음이 떠나고 있음에 따라 더욱 느끼고 있다.
권력의 디자인, 권력의 충돌 시 분쟁의 해결방법의 합의는 보이지 않는 손의 자연 상호작용에만 맡겨야 하는가? 법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게 요즘의 국면인듯 하다.

도구의 관점으로 본다면
기술, 과학의 혁신도 도구의 발전이고, 법과 제도, 사회합의, 종교 등도 도구의 발전이고, 이로 인해 과학적 도구의 개선 역시 촉발될 수도 있을 것인데, 제도적 도구의 변화는 왜이리 피가 많이 필요한 것인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304
613 대칭에 의한 비대칭의 예 image 2 김동렬 2013-06-24 7534
612 용서? 용서는 개뿔. 경계를 세우는 것이 먼저다! -성적 학대와 그 극복에 대하여- image 5 오세 2013-06-22 4856
611 질문 .. 세레나의 잘못은 무엇? 11 김동렬 2013-06-20 4393
610 구조론 팟캐스트 1회 대본 11 오세 2013-06-20 5202
609 참과 거짓 image 김동렬 2013-06-19 4173
608 수동의 발견 담 |/_ 2013-06-14 3365
607 보트를 젓는다면? 6 김동렬 2013-06-06 4399
606 꿈의 발견 3 담 |/_ 2013-06-03 3897
605 평행우주? 단순한 속임수 김동렬 2013-06-02 4746
604 비과학적 사고의 예 2 김동렬 2013-05-28 4856
603 그림에서 잘못된 것은? image 14 김동렬 2013-05-27 4355
602 인류는 많지 않다. 칠십억도 그렇다 담 |/_ 2013-05-15 8327
601 인류의 기원 김동렬 2013-05-15 7471
600 1만 5천년 된 언어 image 3 김동렬 2013-05-13 4665
599 어느 쪽이 낫소? image 13 김동렬 2013-05-02 5735
598 질문.. 왜 전문가는 항상 틀릴까? 10 김동렬 2013-05-01 4812
597 구조론 문제 12 김동렬 2013-04-29 4594
596 여자는 왜 꽃을 좋아하는가? 2 냥모 2013-04-28 4707
595 질문.. 관점을 포착하라 11 김동렬 2013-04-25 5629
594 전쟁, 남북은 없고 세계는 있다 1 담 |/_ 2013-04-24 3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