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049 vote 0 2022.06.29 (09:40:29)

    물고기는 머리와 꼬리가 있다. 물고기는 머리 쪽으로 움직인다. 거기서 중요한 의사결정이 일어난다. 사건은 머리와 꼬리가 있다. 사건은 언제나 머리 쪽에서 의사결정이 일어난다. 전체와 부분이 있다. 전체가 우선이다. 수렴과 확산이 있다. 수렴이 우선이다. 필연과 우연이 있다. 필연이 우선이다.


    수렴 - 확산
    필연 - 우연
    전체 - 부분
    머리 - 꼬리
    원인 - 결과


    수렴, 필연, 전체, 머리, 원인은 같은 것이다. 수렴이면서 우연일 수는 없다. 수렴은 한 지점에 모이고, 모이면 선택지가 하나뿐이기 때문이다. 선택지가 하나이면 그것은 우연이 아니라는 말이다. 수렴은 모이고, 모이면 연결되고, 연결되면 전체다. 그러므로 부분일 수는 없다. 원인이라는 말 자체가 의사결정이 일어나는 지점을 의미하므로 언제나 수렴이 원인이다. 흩어지면 의사결정할 수 없다. 언제나 필연이 원인이다. 우연은 원인이 없다.


    모임 - 흩어짐
    연결 - 단절


    세상은 에너지의 모임과 흩어짐, 사건의 연결과 단절로 모두 설명할 수 있다. 무슨 일이 일어나려면 일단 모여야 한다. 싸움을 해도 모여서 싸우고, 사랑을 해도 모여서 사랑하고, 헤어져도 모였다가 헤어진다. 모임이 만유의 원인이다. 흩어짐은 결과다.


    모임은 필연이다. 과학은 필연을 탐구한다. 과학은 모임을 추적한다. 반드시 한곳에 모아주는 깔때기가 있다. 사건을 연결하는 닫힌계가 있다. 오늘날 과학이 잘 나가다가 길을 잃어버린 이유는 전체를 한 줄에 꿰어서 바라보는 시선이 없기 때문이다. 모이느냐 흩어지느냐, 이 하나의 문제만 풀면 나머지는 자동으로 해결된다.


    방향만 알면 다 해결된다. 방향은 그 자체로 모이는 것이다. 흩어지면 방향이 없다. '어디로 모이느냐?'는 말은 있어도 '어디로 흩어지느냐?'는 말은 없다. 방향이라는 말 자체가 모여있음을 전제로 성립하는 말이다.


    모임과 흩어짐은 동전의 양면이다. 모이면 흩어지고 흩어지면 다시 모이게 된다. 결국 모임이라는 관문에 다 걸리게 되는 것이다. 과학의 관문을 빠져나갈 수 없다. 2층에서 흩어진 것은 1층에 모여있다. 정상에서 흩어진 것은 기슭에 모여 있다. 용케 1선을 뚫는다 해도 2선에서 다 걸린다.


    문제는 과학철학의 빈곤이다. 학문의 방법론 부재다. 동전의 양면 중에서 일면만 보고 포기한다. 모임과 흩어짐 중에서 흩어짐을 보고 포기해 버린다. 흩어지면 또 모이는데 말이다. 우연과 필연 중에서 우연을 보고 포기한다. 우연을 뒤집으면 필연인데 말이다. 우연은 흩어지는 것이고 반대편에 그것을 흩는 장치가 있다. 그것은 모으는 것이다.


    방향감각만으로 모든 것을 알 수 있다. 과학의 정답은 수렴방향이다. 그것은 모이는 것이다. 문제는 방향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이다. 원심분리기를 돌리면 비중대로 줄을 선다. 키질을 하면 가벼운 것이 날아간다. 체로 치면 작은 것이 아래로 빠진다. 여기서 걸러내는 것이 있다. 원심분리기는 비중으로 거르고, 키는 바람으로 거르고, 체는 눈으로 거른다. 그것이 방향을 생산한다.


    호박은 그냥 있는데 호박을 도마 위에 올려놓고 칼로 내려치면 좌우로 나누어진다. 방향이 만들어진다. 그 방향은 칼과 도마가 만들어낸 것이다. 좌우는 그 칼의 작용에 대한 좌우다. 방향은 원래 있는게 아니고 에너지의 작용이 만든다. 에너지는 처음 확산과 수렴만 있다. 전후, 좌우, 상하, 내외라는 것은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거듭된 칼질로 만들어낸 것이다.


    낚인 물고기 입장에서는 우연이지만 낚은 어부 입장에서는 필연이다. 필연과 우연은 동전의 양면이지만 과학은 필연을 추적해야 한다. 우주는 방향성 하나로 전부 해명된다. 그 방향은 칼자루를 쥔 사람이 생산한다. 이 도리를 안다면 인간은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낚이기 전에 먼저 낚아야 한다. 우연이 내게 다가와서 말을 걸기 전에 필연의 보험을 설계해야 한다.

[레벨:30]솔숲길

2022.06.30 (07:10:49)

아래서 두 번째 문단

전후, 좌우, 상하, 내외는 것은 => 문장이 이상함여.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2.06.30 (09:21:37)

감솨~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19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140
5935 좀더 기다려 봐야죠...성급한 주장 아닙니까? DjDj 2002-11-04 15354
5934 구조적으로 생각하기 김동렬 2009-03-25 15353
5933 노-정 TV토론은 호남 지역에 영향을 줄 것임 SkyNomad 2002-11-23 15353
5932 스탠스를 잃은 이회창? image 김동렬 2002-12-08 15352
5931 단지 자살하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김동렬 2003-04-15 15351
5930 김혁규는 아니다 김동렬 2004-05-09 15346
5929 왜 인문학이어야 하는가? 김동렬 2007-10-27 15342
5928 무현아 웃지마라 노빠가 있다. image 김동렬 2003-06-16 15341
5927 서프라이즈가 개혁을 견인할 수 있을꽈? image 김동렬 2003-07-09 15340
5926 보라! 지금 우리들이 무슨 짓을 저질렀는가? 김동렬 2002-12-20 15340
5925 가치의 창출과 실현 image 김동렬 2011-07-29 15339
5924 현대성 - 핵심요약 김동렬 2007-08-12 15335
5923 악소리 한번 내는 전여옥 김동렬 2005-02-15 15330
5922 어떤 책을 읽어야 하는가? 김동렬 2005-06-03 15324
5921 노무현이 위험하다 정지운 2002-12-26 15323
5920 정신적 대통령 이회창 만쉐이~ image 김동렬 2003-06-29 15320
5919 총리 후보로 이참씨를 아다리 2002-10-28 15320
5918 아무생각 없스미 image 김동렬 2003-07-19 15317
5917 한나라당의 입큰 개구리들 image 김동렬 2003-08-23 15315
5916 잡초들의 운명 image 김동렬 2003-05-10 15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