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read 945 vote 0 2022.05.27 (11:16:50)

교육은 진보하되, 퇴보하지 않는다.
교육은 과거의 유산을 가르치는 듯하지만, 실상은 미래에 초점을 맞춰 교육한다. 과거의 유산이 의미가 있다면 그것은 미래 교육에 통찰을 주기 때문이다. 이승만도 공이 있고, 박정희도 공이 있지만 지금은 별로 의미가 없다. 대한민국 미래에 어떤 인사이트도 주지 못한다. 무엇보다 독재로 끝마쳤기 때문에 굳이 이승만이나 박정희 카드를 쓸 이유가 없다. 독재는 미래 가치가 아니다. 전두환, 노태우, 삼당야합으로 민주주의의 변절을 초래한 김영삼도 마찬가지다. 김일성-김정일-김정은 삼부자보고 '개새끼'라고 굳이 할 이유가 없다. 독재자에게는 인간의 칭호도 과분하기 때문이다.
교육은 진보한다. 진보만이 교육의 유일한 이유다. 과학과 기술의 혁신, 생산력과 사회구조의 변화, 이념의 새바람 외에 진보를 가능케하는 것은 오직 교육 뿐이다. 아직도 공산주의, '우리끼리' 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한심스럽다. 정신을 차려야 한다. 지금은 무려 21세기 하고도 22년째다.
내게 교육이 희망이고 인간이 희망이다. 대한민국이 희망이다. 학폭, 교권, 아동학대 문제를 강하게 비판하지만, 나는 학폭과 교권과 아동학대는 변혁의 시대를 거쳐가는 과도기적 문제라 생각한다. 대한민국은 여전히 생산적이고 인류의 희망이다. 고대 그리스의 민주주의,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종교개혁의 독일, 시민혁명의 프랑스, 미국의 민주주의를 잇는 아시아의 희망이 대한민국이다. 문화를 선도하고, 비정상국가를 압도하는 정상적인 민주주의와 인간의 얼굴을 한 자본주의의 희망을 대한민국이 꽃피울 것이라 기대한다. 만약 이것이 불가능하다면, 세계는 앞으로 2~30년간 희망이 없다. 그러니 교사인 내게 자부심과 사명감이 충만하지 않을 수 없다. 때문에 교사중심 교원노조와 와 교육중심의 실천교사와 함께 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 현실이 그렇다. 그러니 교사들은 동참해 주시라!

[레벨:11]큰바위

2022.05.30 (10:30:12)

인간의 얼굴을 한 자본주의라는 표현에 그게 어떤 모습일까? 무척 궁금해집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148
1973 툰서방의 구조론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0-03-02 5349
1972 역시 보는 눈이 다르다- '자격증' 제도에 대한 칼 로저스의 언급을 중심으로 3 오세 2010-03-05 5522
1971 나랏말이.. 1 아제 2010-03-06 4873
1970 모순과 역설. 5 아제 2010-03-08 13525
1969 돈과 시간의 방정식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3-12 9537
1968 럭셔리 골드미스 청담녀 image 12 양을 쫓는 모험 2010-03-17 7802
1967 토요일 구조론 토론모임에 초청합니다. image 2 김동렬 2010-03-18 5825
1966 존재의 이유 image 13 양을 쫓는 모험 2010-03-18 6703
1965 구조론연구소 홍보동영상 12 기준님하 2010-03-22 6564
1964 스마스마에 출연한 고르바초프 image 양을 쫓는 모험 2010-03-23 7422
1963 사진 구조론 image 8 양을 쫓는 모험 2010-03-25 8827
1962 스타크래프트의 구조론적 해석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10-04-01 7084
1961 한국의 커뮤니티 눈내리는 마을 2010-04-04 6774
1960 전쟁의 기술. 3 오세 2010-04-13 4660
1959 상담자들에게 고함. 3 오세 2010-04-14 4688
1958 진실이 밝혀지는 원리를 묻습니다. 9 양을 쫓는 모험 2010-04-18 5557
1957 거짓과 진실의 작동원리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4-21 9091
1956 선거의 구조 ░담 2010-04-22 6397
1955 야심만만한 설정 ░담 2010-04-28 5898
1954 SK, 한국 프로야구의 최대한 image 6 양을 쫓는 모험 2010-04-29 5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