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필자가 대학생때 이야기이니 20년도 전 일이다.

대학에 가보니, 문과생들은 죄다 고시공부만 하고 있더라.

교양과목 교수들은 죄다 비겁해져있었고,

좌파교수라는 김수행 김진균은 아주 오래된 마르크스 고전만 이야기하더라.


아. 열심히 해서 왔던 대학의 모습은 정말 아니올시다였다.

팔뚝질을 해도, 군대에 다녀오니, 세상은 정말 많이도 변해있더란거다.


서울대 엘리트라고 자처하는 한동훈 윤석렬의 민낮은 너무도 부끄럽다.

서구사회에서는 중범죄중 중범죄인 논문 브로커....

아이들이 공부를 좀 못하는건 상관없지만, 거짓말로 키우면 자식들이 주눅들어서 멸망하기 쉽상이다.


서울대-연고대-카이스트 정도라면, 세상과 싸울 마음을 가져야한다.

룸싸롱에서 대기업 본부장들하고 양주 먹으니, 세상이 만만한가?


한동훈 자녀와 처가의 모습을 보니, 한국 엘리트들의 추한 민낮이 역겹다.

한국 엘리트 세대교체가 절실하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레인3

2022.05.09 (18:12:32)

S대 가면 들어가자마자 고시 공부만 한다는 거  유명한 이야기죠.

수업 시간에 질문도 안 하는데, 누가 하면 이상한 사람 쳐다보듯 한다는 이야기도 들었네요.


시간이 흘렀으니 요새는 모르겠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1]chowchow

2022.05.10 (00:39:01)

서울대 나온 사람들이 욕을 먹는 이유는 한국에서 갑질을 하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해외에서 갑질하면 대환영이죠.

누군가가 갑질을 한다는 것은 내 권력을 뺏어간다는 건데,

반대로 해외에서 갑질을 하면 내 권력이 커지므로 대환영

손흥민이 20호 골로 갑질을 하면 내가 기분이 좋아지는 것과 마찬가지.

미국 엘리트엔 굽신거리고 한국 지방대엔 갑질하고 이런 건 아니잖아요.

밖에서 굽신거리다가 집에 들어와서 마누라 패는 놈들이랑 다를 게 뭐냐고요.

Drop here!
[레벨:30]스마일

2022.05.11 (11:52:15)

미국 대학에 나오는 사람들은 미국에서 취직했으면 좋겠다.

IVY리그 좋아하고 하버드 좋아하면

미국에 교육비 주고 미국경제를 돌아가게 했는 데

왜 이준석은 미국에서 취직 못하고 한국에서 와서 난리이냐?

이준석은 미국에서 취직할 실력은 안되나?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292
249 땅값 집값 문제 12 - 강남집값과 중심지이론 수원나그네 2018-01-23 1533
248 땅값 집값 문제 6 - 조봉암과 노무현 수원나그네 2018-01-17 1532
247 '중첩' 행사 안내 image 수원나그네 2018-06-09 1531
246 1을 원한다면 이금재. 2020-11-19 1529
245 일본 원전오염수 관련 아사히신문의 두 기사 1 수원나그네 2019-08-20 1524
244 정체된 마을에.. 양지훈 2020-10-12 1523
243 구조론으로 생각하려면 2 챠우 2019-11-14 1522
242 강호제현께 - 참여와 버스비 후원을 기대합니다. image 수원나그네 2019-08-16 1521
241 사건의 단위 systema 2020-02-10 1518
240 땅값 집값 문제 4 - 경제학자도 모른다 2 수원나그네 2018-01-15 1515
239 사회주택과 중간권력의 창출[제민] 2 ahmoo 2019-06-10 1513
238 [미디어오늘] KS 오리엔트 특급으로 아시아를 누비자 수원나그네 2018-11-29 1512
237 꿈꾸는 인류 image 2 챠우 2019-09-11 1501
236 새로운 서부시대 2 수원나그네 2020-05-17 1501
235 그린벨트해제관련 1 약속 2020-07-19 1500
234 학문에 대한 생각 4 오민규 2020-06-26 1500
» 한동훈-윤석열 한국 엘리트의 민낯 3 dksnow 2022-05-08 1498
232 이번 주 구조론 모임은 취소 되었습니다. image 오리 2020-11-25 1497
231 몬티홀 문제 재소환, 믿음의 문제. 1 이금재. 2020-04-20 1497
230 방향전환의 문제 systema 2019-06-02 1496